스마트 광 분배망 기술 및 표준화 동향

Technology of Smart Optical Distribution Network and its Standardization Trends

저자
김성창, 김근용, 김재인, 유학, 이동수 / 광단말솔루션연구실, 김영선 / 호남권연구센터
권호
29권 5호 (통권 149)
논문구분
일반 논문
페이지
145-155
발행일자
2014.10.01
DOI
10.22648/ETRI.2014.J.290515
초록
최근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으로 인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수동형 광 가입자망(PON: Passive Optical Network) 기술에 대한 요구사항도 높아져가고 있다. 특히, 서비스 제공 시간을 줄이고 망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망 운용관리 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PON 인프라인 광 분배망(ODN: Optical Distribution Network) 링크에 대한 실시간 장애 검출 기술과 물리적 광 커넥션의 자동인식 및 통합관리 기술에 활발한 연구 및 표준화가 진행 중이다. 본고에서는 PON 링크의 실시간 장애 검출 기술 및 광 분배망 자동인식/통합관리 기술동향에 대하여 소개하고 연계된 국제 표준화 진행사항에 대해 알아본다. 마지막으로 ETRI에서 연구 개발 중인 스마트 RN(Remote Node) 기술에 대해 기술한다. 스마트 RN 기술은 장거리(60Km 이상), 고분기(128분기 이상) 추세로 진화되고 있는 PON망에 적용하여 자동화된 광계층의 장애 검출 및 ODN 인프라 자동인식/통합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2992 Downloaded 6027 Viewed
목록

I. 서론

최근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으로 인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수동형 광 가입자망(PON: Passive Optical Network) 기술에 대한 요구도 매우 높아졌다. PON 기술은 광섬유를 이용하여 가입자에게 빠른 전송속도를 제공하는 FTTH/B의 대표적인 기술로, 비교적 고가였던 광통신 기술을 낮은 비용으로 구축하고 운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구리선 기반의 xDSL 및 HFC(Hybrid Fiber Coaxial) 등 기존 기술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PON 기술은 점 대 다점 방식의 광 가입자망 기술로 ((그림 1) 참조) IEEE 및 ITU-T에서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PON 링크당 1Gbps 또는 2.5Gbps의 전송속도를 제공하는 EPON 및 GPON 기술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또한, 링크당 10Gbps의 전송속도를 제공하는 10G EPON과 XG-PON 기술의 상용화가 눈 앞에 다가와 있으며, 40Gbps를 목표로 하는 TWDM-PON 기술이 현재 ITU-T SG15에서 표준화 중이다.

(그림 1)

수동 광 가입자망(PON) 개념도

images/2014/v29n5/ETRI_J003_2014_v29n5_145_f001.jpg

빠르게 적용범위를 넓히고 있는 PON 기술은 데이터 전송속도의 증대뿐만 아니라 장거리(60Km 이상), 고분기 (128분기 이상)를 지원하는 방향으로 진화를 거듭할 것으로 예상된다. PON 기술이 가입자 구간에서 성공적인 확장을 계속 이루어 나가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서비스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해결되어야 한다.

  • •  Resource Utilization

    매년 증가하는 광섬유, 노드에 비해 광 가입자 인프라 관리는 매뉴얼방식(종이 라벨 기반의 광 분배 포트 인식)으로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약 30%의 광통신 인프라 자원이 낭비됨.

  • •  Service Provisioning

    광 접속점들의 매뉴얼 연결 및 인식방식은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의 정확성을 떨어뜨려 빠른 서비스 제공이 어려움

  • •  Fault Locating

    PON망 결함의 위치/원인 정보를 파악하는데 긴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유지보수 관리비용이 증가

(그림 2)는 상기에서 언급한 Resource Utilization 및 Service Provisioning의 관점에서 살펴본 광 분배망의 현재 관리실태로 현장 엔지니어에 의한 수동관리로 광 분배망 내의 광섬유 및 포트 식별이 매우 어렵고 부정확하여 약 30%의 자원이 낭비되고 있다[2]. 이는 PON 인프라의 특징으로 모든 광 분배망의 장비들은 수동소자를 사용함으로써 네트워크 관리자의 입장에서는 블랙박스로 보일 수 밖에 없는 한계를 지닌다.

(그림 2)

광 분배망의 비효율적 관리실태

images/2014/v29n5/ETRI_J003_2014_v29n5_145_f002.jpg

특히, (그림 3)의 FTTH 네트워크 운용비용을 살펴보면 전체 망 비용 중 장비비용은 36%에 그치는 반면 광 분배망의 설치 및 관리에 64%의 비용이 지출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는 망 장애 감지/복구(Fault Locating) 등을 위한 관리 목적의 빈번한 엔지니어의 파견에서 운용비용이 소요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림 3)

FTTH 네트워크 운용비용[1]

images/2014/v29n5/ETRI_J003_2014_v29n5_145_f003.jpg

II. 스마트 광 분배망 기술동향

스마트 광 분배망 기술이란 매뉴얼방식의 비효율적인 광 분배망 운용관리 체계를 효율적이고 자동화된 방식으로 전환시킴으로써 똑똑한 광 분배망 인프라를 실현하는 기술로 정의될 수 있다.

스마트 광 분배망 기술은 실시간 광 분배망 장애 감시기술과 광 분배망 자동인식 및 통합관리 기술로 분류할 수 있다. 본 장에서는 실시간 광 분배망 장애 감시기술동향 및 광 접속점 자동인식기능을 통한 광 분배망 통합관리 기술동향에 대해 알아본다.

1. 실시간 광 분배망 장애 감시기술동향

광대역 서비스의 증가와 무선 접속 개인 단말이 급격히 늘어나면서, 가입자망의 고도화를 위하여 전세계적으로 PON 시스템의 도입이 확대되었다. (그림 4)에 나타낸 Infonetics사의 2013년 2/4분기 분석자료에 따르면 2013년도 PON 가입자 수는 약 1억이 넘는 상황이며 해마다 약 20%씩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3].

(그림 4)

전세계 FTTx 가입자 수 증가 추이(단위: 백만명)

images/2014/v29n5/ETRI_J003_2014_v29n5_145_f004.jpg

PON 시스템의 적용범위도 단순한 데이터 서비스를 넘어 고부가가치의 방송서비스, 비즈니스 가입자를 대상으로 하는 데이터서비스, 모바일 백홀 서비스 등 다양화 되고 있다. 따라서 망 사업자들은 망 구축 시에 단순히 설비 투자비용만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보다 신뢰성이 높고, 낮은 운영비용을 가지는 시스템을 원하게 되었다. 따라서, 물리계층의 성능을 감시하고 장애가 발생했을 경우, 해당 장애 위치를 정확히 식별하는 기술의 필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기존 광선로 감시를 위한 OTDR(Optical Time Domain Reflectometry)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기업인 EXPO(미국), JDSU(미국), Anritsu(일본) 등은 자사 OTDR 장비를 활용한 광계층 감시시스템 구축을 통해 자동화된 감시 및 알람 기능을 포함하는 통합 솔루션 형태의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현재 상용제품으로 출시되고 있는 PON용 OTDR은 (그림 5)와 같이 OLT(Optical Line Terminal) 외부에 설치되고 다수의 OLT 포트를 공유하는 형태로 운용된다. ONU(Optical Network Unit) 측에는 감시광 반사필터를 사용하여 특정 감시광 파장(1625nm or 1650nm)만 반사하도록 하고 OTDR은 수신된 감시광의 피크를 시간축상에서 판별하여 특정 ONU 링크의 장애 유무를 판별하는 기술을 사용한다[4].

(그림 5)

반사 필터를 사용한 외장형 OTDR 시스템

images/2014/v29n5/ETRI_J003_2014_v29n5_145_f005.jpg

EXFO는 NQMSfiber라는 웹 기반의 EMS 시스템과 연동되는 원격시험 유닛(Remote Test Unit)을 포함하는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이 솔루션은 자동화된 감시 및 시험 운용, 웹 기반의 EMS 연동을 통한 원격 관리시스템 제공, PtP뿐만 아니라 PtMP의 FTTH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RTU 장비, GIS 위치정보 기반의 장애 상황 리포트 및 보고서 작성 기능 등을 포함한다.

JDSU는 자사의 OTDR 장비인 OUT-8000 시리즈를 활용한 ONMSi라는 원격 광선로 시험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EXFO와 마찬가지로 OTDR 및 광 스위치를 포함하는 원격 시험 유닛과 XML 기반의 웹서버(또는 SNMP 수용 가능)와 관리 소프트웨어, GIS 위치정보를 활용한 통합 솔루션 형태의 망 감시 및 관리 솔루션을 제공한다.

하지만 최근 들어 국사의 PON 포트 수가 증가하면서 광선로 감시를 위한 OTDR을 OLT 외부에 별도로 두고 여러 OLT가 공유하는 전통적인 방식은 여러 OLT의 PON 포트들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려는 망 사업자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OTDR을 이용한 PON망 감시기술은 실시간 감시 및 OPEX 절감, 효율적인 복구 등의 이유로 PON 라인카드에 OTDR 기능을 통합하는 Embedded OTDR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그 중에서 OLT 광트랜시버에 OTDR 기능을 내장하는 내장형 OTDR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외장형에 비해 감시 성능이 낮고 OLT 광모듈 가격이 높아진다는 점은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내장형 OTDR 개발동향을 살펴보면, Alcatel Lucent는 2010년 9월 자사의 PON 시스템에 OTDR 기능을 내장한 제품을 발표하였다. (그림 6)에 나타낸 스마트 트랜시버(transceiver)라 불리는 OTDR 내장형 광모듈은 OTDR 센서 기능을 내장하고 ALU의 ISAM(Intelligent Service Access Manager) OLT에 장착된다. 다단으로 구성된 분배망의 두 번째 스플리터까지 시험이 가능하며 자사의 SW 기반 망 분석기(Motive Network Analyzer)와 연동하여 OTDR 시험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림 6)

ALU의 Embedded-OTDR 시스템[5]

images/2014/v29n5/ETRI_J003_2014_v29n5_145_f006.jpg

Neo-Photonics사는 2012년 10월 내장형 OTDR을 포함한 SFP(Small Form Factor Pluggable) 타입의 GPON OLT용 광모듈을 발표하였다. 2010년 PMCSierra는 OTDR 기능이 포함된 광 송수신기 구성방법과 운용방법에 대한 특허를 출원하였고, 출원된 특허를 기반으로 OTDR 기능이 포함된 10GEPON 시스템용 MAC chip을 개발 중이다.

Huawei에서는 OFC 2014에서 OTDR 기능 내장형 트랜시버를 접목한 NG-PON2 시제품을 전시하여 많은 눈길을 끌었다.

2. 자동인식 기반 광 분배망 통합관리기술동향

(그림 2)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광 분배망 내에서 광 커넥터와 포트 간의 접속관리는 현장 엔지니어에 의해 종이 라벨로 식별을 하는 매뉴얼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망을 운영하고 있는 통신사업자의 입장에서도 광 분배망이 어떤 식으로 체결되어 있는지 엔지니어가 직접 현장에서 눈으로 확인하지 않는 한 알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신규 네트워크 서비스 가입자 또는 기존 가입자의 탈퇴로 인해 광 분배함의 광 커넥터 환경설정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다 보면 광 분배함 내의 광커넥터와 포트 간 식별이 어려워 잦은 결속 에러 및 서비스 개통 지연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NTT에서는 (그림 7)과 같이 광 분배망을 구성하는 광 커넥터, 스플리터, 광 단자함 등에 바코드 또는 QR 코드 등을 활용하여 광 섬유 인프라의 인식이 쉽도록 연구개발을 진행해 왔다. 한편, Huawei에서는 (그림 8)과 같이 전자 ID 태그를 이용한 광 분배망 관리 플랫폼으로 Intelligent ODN(Optical Distribution Network) 시스템을 개발하여 마케팅 및 표준화에 노력하고 있다.

(그림 7)

NTT의 광 분배망 관리시스템[6]

images/2014/v29n5/ETRI_J003_2014_v29n5_145_f007.jpg
(그림 8)

스마트 광 분배망 기술 관련 국제 표준화 동향

images/2014/v29n5/ETRI_J003_2014_v29n5_145_f008.jpg

가. NTT의 광 분배망 관리기술동향

NTT에서는 2차원 코드를 사용하는 방대한 양의 실내장비의 관리를 목표로 중앙국사에서 운용되는 광케이블 관리시스템을 운용하고 있으며 관리의 대상이 되는 모든 구성요소에는 유일한 식별코드가 부착되어 있다. 가령, 광케이블의 양단에 코드가 부착되고 스플리터 어댑터의 모든 소켓에도 코드가 부착된다. 관리대상인 구성요소가 설치되거나 결합 또는 분리될 때, 구성요소에 부착된 코드는 코드리더로 전자방식으로 읽혀서 OSS(Ope-ration Support Systems)에 전달된다. 이렇게 각 구성요소의 코드가 모두 전달되고 나면 OSS는 관리대상인 구성요소를 관리할 수 있다.

나. Huawei의 광 분배망 관리기술동향

Intelligent ODN 시스템은 Intelligent ODN equipment, Intelligent Field Tool, Management System과 OSS로 구성된다. Intelligent ODN equipment는 스플리터, 광 분배 프레임, 패치 코드, 광커넥터 등 ODN을 이루고 있는 구성요소에 ID 태그를 부착한 장치를 의미한다. Intelligent ODN equipment들의 ID 정보는 PDA 등으로 구현된 Intelligent Field Tool에 의해 수집되어 Management System으로 전송된다. Management System은 ID 데이터를 통합 저장하고 OSS와 연동하여 광 분배망을 관리한다. 전자 ID 태그의 구조를 살펴보면 태그 어댑터는 Intelligent ODN 장비에 고정되어 있으며, 전자 태그가 부착된 광 커넥터는 각 전자 태그 어댑터에 삽입되고 이때, 수집된 광섬유 커넥터 ID 와 삽입된 포트 ID 정보의 페어 정보가 Management System으로 전송되어 관리된다.

III. 스마트 광 분배망 기술 표준화 동향

스마트 광 분배망 기술과 관련한 기술들이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논의되고 있다. (그림 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표준화 기구별로 Management & Monitoring System, Telecommunications & Out Side Plant, Passive, Active Optical Interconnecting Devices, Test Method & RF-ID 기술에 대해 표준화가 진행 중이다.

(그림 9)

Huawei의 광 분배망 관리시스템[6]

images/2014/v29n5/ETRI_J003_2014_v29n5_145_f009.jpg

1. ITU-T

국제 표준화 기구인 ITU-T 에서는 SG15 내에 WP2 ‘Optical access/transport network technologies and physical infrastructures’의 Q17 ‘Maintenance and operation of optical fiber cable networks’ 그룹에서 Fiber O&M 이슈와 관련된 표준을 진행하고 있다. 최근 광계층 관리의 자동화를 위한 기술발전 추이에 맞추어 L.gpsm, L.ofid와 같은 다양한 Fiber identification 기술에 대한 표준화 작업이 진행 중 이다. <표 1>은 광 가입자망을 위한 광섬유 인프라 자동인식 및 운영관리와 관련한 ITU-T 표준을 나타낸다.

<표 1>

OSP 운영관리와 관련한 ITU-T 권고안 리스트

images/2014/v29n5/ETRI_J003_2014_v29n5_145_t001.jpg

2. FSAN

FSAN(Full Service Access Network)에서는 독일 베 를린에서 열린 2011년 2/4분기 회의에서 Interoperability Task Group 아래에 ‘광 분배망 감시(ODN Monitoring)’라는 주제로 새로운 스터디 그룹을 만들었다. 이 스터디 그룹의 목적은 광 분배망 감시와 관련하여 FSAN의 망 사업자 회원사의 요구사항을 수집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적합한 기술적 해결책을 규정하는 것이다. 또한, 이 스터디 그룹의 작업은 BBF의 FAN(Fiber Access Network) WG과 협력으로 진행하여 BBF의 WT-287 기술문서를 완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후 2013년까지의 스터디 그룹 활동을 통해 BBF의 WT-287의 근간이 되는 다양한 기고서가 발표되었다.

3. BBF

광계층 관리(OLM: Optical Layer Management) 기술과 관련하여 BBF(Broadband Forum)에서는 Fiber Access Network WG 산하에 WT-287 ‘PON Optical-Layer Management’에 관한 표준을 진행 중이다[7]. WT-287 표준의 내용은 1) PON Optical Layer Management 구조 2) External OTDR의 기능적 요구사항 3) Chassis 기반 OTDR의 기능적 요구사항 4) Dedicated OTDR의 기능적 요구사항 5) 광링크 모니터링의 기능적 요구사항 6) 선택적 광파장 반사기의 기능적 요구사항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부록으로는 OLM Use Cases, OTDR의 개요 및 OLM 관리 파라미터, 명령어, 리포트방식 등에 대한 내용으로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림 10)은 OLM 기술관련 표준화 기관간 협력체계를 나타낸다.

(그림 10)

OLM 기술 관련 표준화기관 협력체계

images/2014/v29n5/ETRI_J003_2014_v29n5_145_f010.jpg

ODN 운영 및 관리와 관련하여 BBF에서는 Operations & Network Management WG 산하에 WT-311 ‘Fiber Infrastructure Management System Architecture and Requirements’에 관한 표준을 진행 중이다[8]. WT-311은 2012년 5월 미국 New Mexico, Albu-querque 에서 개최된 BBF 2Q 미팅에서 Huawei, China Telecom, RITT, ZTE Corporation, Cambridge Industries Group Limited사와 함께 Intelligent ODN 구조 및 필요성에 대해 발표하였고. 2012년 11월 SD-311로 지정되어 스터디가 진행되었으며 2013년 9월 WT-311로 확정되어 현재 Ver. 4까지 진행되었다.

WT-311 표준의 내용은 1) FIMS 시스템 개요 2) FIMS 시스템의 기능 구조 3) 기능적 요구사항 4) 인터페이스 정의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부록으로 FIMS의 Use Cases 및 구현 시나리오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IV. 스마트 RN 기술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PON망에서 실시간 ODN 장애 감시 및 관리기술은 점차 주목을 받고 있으며 연구개발 또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장거리(60Km 이상), 고분기(128분기 이상) PON 구조로 진화되고 있는 광 가입자 망에서 ODN 장애 감시에 대한 뚜렷한 솔루션이 없는 실정이다. 이는 기존 ODN 감시시스템이 가지는 한계에서 비롯되는데 첫째, RN(Remote Node)에서의 감시광 손실로 인해 OTDR이 감시광 펄스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둘째, 동일거리에 존재하는 ONU들에 대한 감시광 식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ETRI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동시에 효율적이고 자동화된 ODN 관리를 위하여 스마트 RN 기술을 개발 중에 있다. 스마트 RN 기술이란 장거리(60Km 이상), 고분기(128분기 이상) PON망 구조하여 실시간 광계층 감시기능과 광 인프라 자동인식기능을 통합 제공하는 기술로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과 자동화된 인프라 관리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시간을 줄이고 망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망 운용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는 광 분배망 운용 및 관리기술이다.

스마트 RN 기술은 PON망의 광계층 장애 관리기능과 광 분배망 인프라 자동인식기능으로 구성된다. (그림 11)은 스마트 RN의 기능 블럭을 나타낸다. 광링크 테스트 및 진단 서브 시스템(OTDS: Optical Test and Diagnostics Subsystem)은 광 분배망의 장애 판별 테스트 수행과 광링크 상태를 진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OTDS는 광 트랜시버로부터 링크 상태 정보를 추출하는 링크 모니터링 기능과 OTDR을 사용하여 링크 장애 상태를 진단하는 기능 두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OTDS는 SFF-8472 기반의 광 파라미터 측정을 통해 LOS(Loss of Signal) 정보가 확인되면 OTDR을 작동시켜 링크 상태를 진단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림 11)

스마트 RN 시스템의 기능 구조

images/2014/v29n5/ETRI_J003_2014_v29n5_145_f011.jpg

스마트 RN 기술 중 광 분배망 인프라 자동인식기능은 E-FIMS(ETRI-Fiber Infrastructure Management Subsystem)로 구현되며 전자 ID태그 기반의 광 분배망 인식기능을 수행한다. 자동으로 인식된 광 섬유와 광 분배 프레임의 포트정보는 E-FIMS 서버에 저장되어 관리됨으로써 실시간 토폴로지 정보의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또한 필드 운용단말과 연계된 Work Order 시스템 사용을 통하여 현장 엔지니어의 작업 실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중앙에서 모든 망 자원을 제어 할 수 있다. 또한, 웹 기반 Visualized 운용/관리 SW는 광 분배망 관리를 보다 직관적이고 이해하기 쉽도록 설계되었으며 관리자는 웹브라우저를 통해 상시 광계층 장애관리와 광 분배망 인프라 자동인식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은 ETRI에서 개발 중인 스마트 RN 시스템 기술의 주요 특징을 나타낸다.

  • - 장거리(60Km 이상), 고분기(128분기 이상) PON 링크 장애 감지 및 진단

  • - 동일 거리에 위치한 ONU에 대한 분배망 링크 장애 감지 및 진단

  • - OSS/BSS(Business Supporting System) 연동 원격 PON 링크 장애 검사, 진단 및 결과 리포팅

  • - 광 트랜시버 링크 모니터링 데이터(OLT/ONU alarm, BIP/FEC error)와 OTDR 연동 PON 링크 장애 사전 감지 및 진단

  • - 전자 태그 기반의 광 섬유, 광 분배 프레임, 스플 리터, 및 커넥터 자동인식을 통한 실시간 광 분 배망 관리

  • - 전자 태그 기반의 스마트 작업 지시(Work Order) 시스템

  • - 광계층 관리기능(OLM)과 광 분배망 인프라 관리 기능(E-FIMS)의 통합운용을 통한 자원 사용의 효율화, 빠른 서비스 프로비저닝 및 정확한 장애 판단

  • - 사용자 친화적인 웹 기반의 시각화된(Visualized) 운용/관리 소프트웨어

V. 활용분야

1. 통신사업자

각국의 통신사업자들은 xDSL기반으로 제공하던 초고속 인터넷서비스를 PON 기반의 FTTH 네트워크 기술로 빠르게 전환하고 있다. (그림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FTTH 가입자는 매년 20% 이상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그 동안 Capex 문제로 고민하고 있던 각국의 통신사업자들은 최근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광 분배망의 효율적인 운용관리를 위해 광 링크 장애 감시시스템과 광 분배망 관리시스템 도입이 필요한 시점으로 인식하고 있다.

또한, PON 기술은 일반 가입자(Residential)뿐만 아니라 기업망(Business), 무선 백홀망(Cell site) 등 Mission Critical한 네트워크로 그 적용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망 운용관리의 중요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2. 케이블방송 사업자

케이블방송 사업자들은 전통적으로 HFC망을 사용하여 비디오와 데이터서비스를 제공하여 왔다. 하지만 통신사업자의 IP-TV 서비스 및 FTTH 초고속 인터넷서비스와 경쟁하기 위하여 점진적인 PON망으로의 진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 북미 MSO들과 CableLabs는 IEEE EPON 기반의 RFoG(Radio Frequency over Glass) 지원을 위하여 DPoE(DOCSIS Provisioning over EPON) 기술을 선보였다. (그림 12)는 Comcast의 Deep Fiber 전략을 나타내며 결국 케이블방송 네트워크는 PON 기술과 밀접한 연관관계하에 발전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PON 네트워크의 운용관리 필요성은 더욱 증대 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 12)

케이블방송 사업자의 Deep Fiber 전략[9]

images/2014/v29n5/ETRI_J003_2014_v29n5_145_f012.jpg

*MSO(Multiple System Operator)

3. U-City 자가망

U-City는 도시화에 따른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 창조 도시 구현을 추구하고자 전세계적으로 시범서비스가 진행 중이다. 국내에서도 화성 동탄, 용인 흥덕, 파정 운정, 성남 판교 등 신도시 위주로 U-City 건설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공공서비스 위주로 사업이 전개되고 있는 반면 국외에서는 첨단 정보기술을 도시의 고유한 기능과 접목하여 도시별 특성을 살리면서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서비스와 인프라가 구현되고 있다.

U-city 공공 자가망 구축은 다양한 유비쿼터스 도시 서비스를 언제 어디서나 제공할 수 있는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이 요구된다. 판교 U-City 공공 자가망 설계사례를 살펴보면 통합관제 센터와 5개 동사무소 간의 네트워크 인프라 구성에 있어 코어망은 10Gbps MSPP Dual Ring 구조로 설계되었고 가입자단은 모두 PON 기술을 활용한 Star형 구조로 설계되어 구성되었다. 본 사례에서 보듯이 U-City 사업이 보다 활발히 진행되면 진행될수록 PON 링크관리를 위한 수요는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4. 초대형 빌딩 및 캠퍼스망

기존 대형빌딩 및 학교 캠퍼스망 에서는 서비스별(인터넷 망, 방송망, 전화망, CATV망 등)로 독립된 망을 구축하여 왔으나 광통신기술의 발달로 모든 서비스를 하나의 광섬유로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전체 네트워크 구조를 매우 간결하게 시설할 수 있으며 시스템 단일화로 유지보수가 편리한 장점을 가지게 되었다. 도시화로 인한 초고층 대형 빌딩 건축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될 것으로 예측되며 U-Learning의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디지털 캠퍼스 구축이 확대될 것으로 예측된다. PON 기술은 이러한 초고층 대형 빌딩 구내망 및 디지털 캠퍼스의 학교망에 적용될 수 있는 값 싼 솔루션으로서 광 분배망의 운용/관리 요구사항은 점차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VI. 결론

본 문서에서는 PON 기반의 광 가입자망에 적용하여 자동화된 광계층의 장애 감지 및 ODN 인프라 관리 기술동향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광 가입자용 광섬유 인프라에 대한 실시간 장애 감시 및 자동화된 ODN 인프라 관리는 앞으로 그 수요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ETRI에서는 국제 표준화 기술동향에 발맞추어 스마트 RN 기술을 연구개발하고 있다. 본 기술은 장거리, 고분기 추세로 진화되고 있는 PON망에서 서비스 제공시간을 줄이고 망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망 운용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율적인 솔루션이다. 스마트 RN 기 술은 국제 표준화와 연계한 상호호환성 검증을 통하여 해외 수출시장을 개척하고 기술경쟁력 확보를 추진하고자 한다.

용어해설

스마트 RN(Remote Node) 스마트 광 원격 노드기술이란 장거리(60Km 이상), 고분기(128분기 이상) PON망 구조하에서 실시간 광계층 감시기능과 광 인프라 자동인식기능을 통합 제공하는 기술로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과 자동화된 인프라 관리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시간을 줄이고 망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망 운용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는 광 분배망 운용 및 관리기술

약어 정리

BBF

Broadband Forum

BSS

Business Supporting System

DPoE

DOCSIS Provisioning over EPON

E-FIMS

ETRI-Fiber Infrastructure Management Subsystem

FAN

Fiber Access Network

FSAN

Full Service Access Network

HFC

Hybrid Fiber Coaxial

ISAM

Intelligent Service Access Manager

MSO

Multiple System Operator

ODN

Optical Distribution Network

OLM

Optical Layer Management

OLT

Optical Line Terminal

ONU

Optical Network Unit

OSS

Operation Supporting System

OTDR

Optical Time Domain Reflectometry

OTDS

Optical Test and Diagnostic Subsystem

PON

Passive Optical Network

RFoG

Radio Frequency over Glass

RN

Remote Node

SFP

Small Form Factor Pluggable

[1] 

Huawei, “Intelligent ODN System-Proposal for Architecture and Requirements,” BBF Q2 Meeting, 2012, p. 4.

[2] 

China Telecom, “Intelligent ODN System,” BBF Q2 Meeting, 2012, p. 5.

[3] 

Infonetics, “Broadband CPE and Subscribers: PON, FTTH, Cable, and DSL,” 2013, p. 29.

[4] 

M.A. Esmail and H. Fathallah, “Physical Layer Monitoring Techniques for TDM-Passive Optical Networks: A Survey,” IEEE Commun. Surveys & Tutorials, vol. 15, no. 2, 2Q. 2013, pp. 943-558.

[5] 

Alcatel Lucent, “Embedded OTDR: Troubleshooting at the Speed of Light,” http://www3.alcatel-lucent.com/otdr/

[6] 

ITU-T, “L.64, ID tag requirements for infrastructure and network elements management,” 2012, pp. 11-20.

[7] 

BBF, “WT-287, PON Optical-Layer Management,” Rev12, 2014, pp. 7-44.

[8] 

BBF, “WT-311, Fiber Infrastructure Management System: Architecture and Requirements,” Rev 4, 2014, pp. 6-34.

[9] 

R.M. Boylan, “What Drop Cable Will Be On Your Truck in 2020?,” Greater Chicago SCTE, 2010, p. 87.

(그림 1)

수동 광 가입자망(PON) 개념도

images/2014/v29n5/ETRI_J003_2014_v29n5_145_f001.jpg
(그림 2)

광 분배망의 비효율적 관리실태

images/2014/v29n5/ETRI_J003_2014_v29n5_145_f002.jpg
(그림 3)

FTTH 네트워크 운용비용[1]

images/2014/v29n5/ETRI_J003_2014_v29n5_145_f003.jpg
(그림 4)

전세계 FTTx 가입자 수 증가 추이(단위: 백만명)

images/2014/v29n5/ETRI_J003_2014_v29n5_145_f004.jpg
(그림 5)

반사 필터를 사용한 외장형 OTDR 시스템

images/2014/v29n5/ETRI_J003_2014_v29n5_145_f005.jpg
(그림 6)

ALU의 Embedded-OTDR 시스템[5]

images/2014/v29n5/ETRI_J003_2014_v29n5_145_f006.jpg
(그림 7)

NTT의 광 분배망 관리시스템[6]

images/2014/v29n5/ETRI_J003_2014_v29n5_145_f007.jpg
(그림 8)

스마트 광 분배망 기술 관련 국제 표준화 동향

images/2014/v29n5/ETRI_J003_2014_v29n5_145_f008.jpg
(그림 9)

Huawei의 광 분배망 관리시스템[6]

images/2014/v29n5/ETRI_J003_2014_v29n5_145_f009.jpg
(그림 10)

OLM 기술 관련 표준화기관 협력체계

images/2014/v29n5/ETRI_J003_2014_v29n5_145_f010.jpg
(그림 11)

스마트 RN 시스템의 기능 구조

images/2014/v29n5/ETRI_J003_2014_v29n5_145_f011.jpg
(그림 12)

케이블방송 사업자의 Deep Fiber 전략[9]

images/2014/v29n5/ETRI_J003_2014_v29n5_145_f012.jpg

*MSO(Multiple System Operator)

<표 1>

OSP 운영관리와 관련한 ITU-T 권고안 리스트

images/2014/v29n5/ETRI_J003_2014_v29n5_145_t001.jpg
Sign Up
전자통신동향분석 이메일 전자저널 구독을 원하시는 경우 정확한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