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trends banner

박종근 (Park J.G.) 네트워크컴퓨팅융합연구실 선임연구원
윤승현 (Yoon S.H.) 네트워크컴퓨팅융합연구실 책임연구원
이범철 (Lee B.C.) 네트워크컴퓨팅융합연구실 실장

I. 서론

기존 하드웨어 중심의 네트워크 인프라를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진화시켜 서비스 유연성과 비즈니스 민첩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새로운 네트워크 기술로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DN: Software-Defined Networking)과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FV: Network Functions Virtualisation) 기술이 최근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 기술은 미국 스탠포드 대학의 연구과제로 시작된 이후 네트워크 장비제조사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기술 및 장비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네트워크 장비의 제어 평면과 데이터 평면을 분리한 다음 중앙집중화된 제어 평면을 통해 서비스의 특성과 상황에 따라 동적으로 네트워크 장비를 제어함으로써 유연한 네트워크 인프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기술은 특정 네트워크 장비제조사에 대한 종속(vendor lock-in)을 탈피하고, 고가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투자비용(CAPEX: Capital Expenditure)과 운용비용(OPEX: Operating Expense)을 절감하고자 통신사업자 주도로 연구개발이 시작된 기술이다. 통신장비에 내장된 여러 기능을 소프트웨어로 구현한 다음 범용의 대용량 서버, 스토리지, 스위치로 구성된 클라우드 환경에서 필요에 따라 동적으로 가상의 네트워크 기능을 구성하고 운용함으로써 소프트웨어 중심의 네트워크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다.

새로운 시장 창출을 위한 장비제조사의 적극적인 참여에 힘입어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 기술이 빠르게 상용화 단계에 접어든 반면,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기술은 표준화 단체를 통한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의 요구사항, 프레임워크 구조, 유스케이스, 개념 검증(Proof of Concept) 등에 대한 논의 및 상위 문서작업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오고 있다. 최근에는 표준화 단체에서 정의한 개념 검증 프레임워크에 따라 통신사업자, 네트워크 장비 또는 솔루션 업체 등의 참여를 바탕으로 다양한 유스케이스에 대한 개념 검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기술의 실질적인 실현 및 확산을 통해 통신사업자와 장비제조사가 모두 이익을 도모할 수 있는 공개 소프트웨어 기반의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플랫폼 및 솔루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어 왔다[1].

본고에서는 최근 Linux Foundation의 Collaborative Project로 발표된 공개 소프트웨어 기반의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플랫폼 개발 프로젝트인 OPNFV(Open Platform for NFV)의 목적과 개발범위 그리고 향후 개발방향을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II.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유럽의 대표적인 통신 분야 표준화 단체인 ETSI(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는 2012년 12월 전 세계 주요 통신사업자인 AT&T, British Telecom, Deutsche Telekom, Orange, Telecom Italia, Telefónica, Verizon이 주축이 된 NFV ISG(Industry Specification Group)를 공식 출범하고, 곧 이어 2013년 1월 첫 회의를 시작으로 매 분기별로 공식회의를 개최하는 등 활발한 표준화 활동을 진행해 오고 있다[2].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는 (그림 1)과 같이 가상화 기술을 바탕으로 범용의 표준화된 대용량의 서버, 스토리지, 스위치에 다양한 네트워크 장비의 기능을 통합함으로써 네트워크 인프라와 네트워크 서비스를 운용하는 방식을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3]. 즉, 네트워크 장비에 내장된 여러 기능을 범용의 표준 서버 하드웨어에서 실행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로 구현함으로써 네트워크 인프라 구조의 변화를 꾀할 수 있으며, 주요 네트워크 기능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됨에 따라 새로운 고가의 네트워크 장비 도입 및 구축 없이 필요한 기능을 동적으로 다양한 위치에 설치하여 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림 1)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의 비전[3]

ETSI NFV ISG에서 정의한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의 구조 프레임워크는 (그림 2)와 같이 크게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인프라스트럭처(NFVI: NFV Infrastructure), 가상 네트워크 기능(VNF:Virtualised Network Function), 관리 및 조율(M&O: Management and Orchestration)로 구분할 수 있다[3]-[5].

(그림 2)
NFV 상위 프레임워크 구조[4]

먼저 NFVI는 VNF가 실행될 수 있는 가상 자원을 제공하는 계층으로, 상용의 하드웨어와 가속장치 그리고 하부의 하드웨어를 가상화하고 추상화하는 소프트웨어 계층을 포함한다.

VNF는 NFVI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된 네트워크 기능으로,각 VNF의 관리를 담당하는 요소관리시스템(EMS: Element Management System)과 함께 구성될 수 있다. VNF는 현재의 네트워크 노드에 대응되는 것이지만, NFVI상에서 실행되기 때문에 특정 하드웨어에 대한 종속성이 없는 순수 소프트웨어로 제공된다.

NFV M&O는 인프라스터럭처 가상화를 지원하는 모든 물리 및 가상 자원의 조율(orchestration)과 전주기(lifecycle) 관리, 그리고 가상 자원상에서 실행되는 VNF에 대한 전주기 관리도 함께 담당한다. 또한 NFV 프레임워크와 기존 네트워크 환경의 관리 영역이 상호 원활히 통합될 수 있도록 운용지원시스템(OSS: Operation Support System) 및 비즈니스지원시스템(BSS: Business Support System)과 같은 외부 시스템과의 연동도 M&O 영역이 담당한다.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의 구조 프레임워크는 기본적으로 개방을 통한 혁신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모든 프레임워크 구성요소마다 서로 명확하게 분리되어 있으며, 이들 간에 정의된 참조 포인트(reference point)를 통해 상호 연동되는 구조적 특성을 갖고 있다. NFVI와 VNF 간 그리고 NFVI 내의 구성요소 간의 참조 포인트는 가상화와 추상화를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NFVI에서 다른 NFVI로 VNF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부의 하드웨어에 대한 어떤 제약도 없이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그리고, NFV M&O와 VNF 간, M&O와 NFVI 간, 그리고 M&O 내부의 구성요소 간의 참조 포인트는 인프라에서부터 가상 네트워크 기능까지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관리와 운용을 가능하게 한다.

이상과 같은 구조적 특징을 바탕으로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기술을 실현하게 되면, 여러 네트워크 장비를 통합 운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규모의 경제를 통해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도입비용과 전력소비 감소를 통한 CAPEX와 OPEX의 절감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기반의 네트워크 기능에 대한 개발과 동시에 기존 서비스를 제공중인 인프라를 공유하여 새로운 가상 네트워크 기능에 대한 검증 및 통합이 쉽게 이루어짐으로써 신규 네트워크 서비스의 시장 진입에 소요되는 비용의 절감은 물론 시간 단축도 꾀할 수 있다. 더욱이 네트워크 기능에 대한 가상 어플라이언스 시장이 새롭게 개방됨에 따라 새로운 혁신적인 서비스의 도입이 촉진되는 등 새로운 생태계가 창출될 수도 있으며, 실제 네트워크 트래픽이나 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실시간으로 네트워크의 형상 및 토폴로지를 최적화하는 등의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6].

그 외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에 대한 ETSI NFV ISG의 표준화 활동과 동향 그리고 NFV ISG에서 발간한 기술문서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참고문헌 [7]-[9]에 자세히 소개되어 있다.

III. OPNFV 프로젝트

지난 9월 30일 Linux Foundation은 공개 소프트웨어 기반의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플랫폼 개발 프로젝트인 OPNFV의 출범을 공식 발표했다. 본 장에서는 새롭게 출범된 OPNFV 프로젝트에 대해 그 목적과 개발범위, 그리고 향후 개발방향을 중심으로 정리한다.

1. 목적 및 배경

OPNFV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크게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꼽을 수 있다.

첫째, 상호 운용 가능한 다양한 NFV 솔루션 개발을 촉진할 수 있는 공개 소프트웨어 기반의 플랫폼에 대한 공동 협력 개발이다.

둘째, NFV 솔루션 개발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코드나 하드웨어를 만들기 위해 현재 활동 중인 공개 소프트웨어 커뮤니티를 더욱 활성화하는 것이다.

앞서 소개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는 네트워크 자산의 활용을 높이면서 동시에 서비스 민첩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기술이다. 이와 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통신사업자들은 상호 운용 가능한 다양한 이종의 NFV 솔루션을 함께 검증하고 운용할 수 있는 공개 소프트웨어 기반의 참조 플랫폼(reference platform)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해 왔다.

이에 따라 이러한 통신사업자의 요구를 충족하는 동시에 새로운 서비스와 솔루션 개발을 촉진할 수 있는 통신장비급(carrier-grade)의 NFV 참조 플랫폼을 개발하기 위한 프로젝트로 OPNFV 프로젝트가 출범하게 되었다.

따라서, OPNFV 플랫폼의 기본 설계방침은 확장성을 고려한 모듈 기반의 구조를 채택하여, 최종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원하는대로 솔루션을 구성하여 NFV 플랫폼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이다. 따라서, 공개 소프트웨어 기반의 협력 개발이 바탕이 되지 않으면, 각각의 NFV 솔루션 제조업체나 사용자들이 제각각 독립적으로 다양한 NFV 플랫폼과 솔루션을 개발함으로써, 다양한 NFV 솔루션들 간의 상호운용성을 보장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커뮤니티를 통한 협력 개발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OPNFV 프로젝트에서 활용할 핵심 원천 공개 소프트웨어 프로젝트(upstream open source project) 입장에서도 다양하게 도출된 NFV 관련 기능 개발 요구사항이나 결함에 대해 체계적이고 일관된 접근이 불가능하여 통신사업자 등이 운용할 수 있는 참조 플랫폼을 적시에 제공하지 못할 수도 있다.

2. 프로젝트 참여 회원사

OPNFV 프로젝트 설립 회원사로는 통신사업자, 네트워크 및 컴퓨팅 장비 솔루션 업체 등을 포함하는 글로벌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업들이 총망라되어 있다[10].

먼저 플래티넘 회원사로는 AT&T, Brocade, China Mobile, Cisco, Dell, Ericssion, HP, Huawei, IBM, Intel, Juniper Networks, NEC, Nokia Networks, NTT DOCOMO, Red Hat, Telecom Italia, Vodafone 등 총 17개 사가 참여하고 있다.

실버 회원사로는 6WIND, Alcatel-Lucent, ARM, Broadcom, CableLabs, Cavium, CenturyLink, Ciena, Citrix, ClearPath Networks, ConteXtream, Coriant, Cyan, Dorado Software, Ixia, Metaswitch Networks, Mirantis, Ooredoo, Orange, Overture Networks, Sandvine, Sprint, Wind River 등 23개 사가 참여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공개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활동과 유사하게 국내 통신사업자나 ICT 장비 및 솔루션 업체의 참여는 아직 눈에 띄지 않는 상태이다.

3. 구조 및 개발범위

OPNFV 프로젝트의 플랫폼 구조는 ETSI NFV ISG에서 정의한 구조 프레임워크를 그대로 따른다. 따라서, 초기 OPNFV 프로젝트의 개발범위를 ETSI의 NFV 구조 프레임워크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그림 3)과 같이 NFVI와 VIM(Virtual Infrastructure Manager)에 한정된다[11].

(그림 3)
OPNFV 프로젝트의 초기 대상 범주[11]

NFVI와 VIM 모두 NFV 구조 프레임워크에서 인프라스트럭처 계층을 구성하는 것으로, 다음의 참조 포인트도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 - Nf-Vi

  • - Or-Vi

  • - Vi-Vnfm

  • - Vn-Nf

  • - VI-Ha

NFVI와 VIM 사이의 Nf-Vi 참조 포인트와 하드웨어 자원과 가상화 계층 사이의 VI-Ha 참조 포인트는 초기 OPNFV 솔루션의 개발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상호 운용성이 보장되도록 개발될 것이다. 즉, 다양한 컴퓨팅, 스토리지, 네트워크 하드웨어 장비를 활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고, OpenStack 또는 CloudStack과 같은 다양한 VIM 솔루션의 활용이 가능하도록 참조 포인트가 구현될 것이다.

또한, VIM은 M&O 영역 내에서 VNFM(VNF Manager)과 Orchestrator와 상호 연동되어야 하므로, Vi-Vnfm 및 Or-Vi 참조 포인트는 개방형의 단일 규격으로 제공될 것이다.

결국 OPNFV의 초기 솔루션은 NFVI와 VIM 이외에, 다양한 솔루션 벤더에서 제공하는 다른 ETSI NFV 프레임워크 기능(예, VNF, PNF(Physical Network Function), VNFM, Orchestrator, Hardware 등)과의 상호운용성을 보장하기 위해 단일 규격의 Northbound 및 Southbound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제공해야만 한다.

4. 유스케이스

가상 네트워크 기능(VNF)은 LTE(Long-Term Evolution) 이동통신 패킷코아망의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장비 기능에서부터 VPN(Virtual Private Network) 게이트웨이나 방화벽 등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VNF는 그 유형에 상관없이 NFV 플랫폼 상에서 쉽게 운용되고 관리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OPNFV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은 유스케이스를 지원하는 플랫폼을 개발하고자 한다.

  • - VNF의 구축, 인스턴스 생성, 설정, 시작 및 중단, 업그레이드 및 다운그레이드 그리고 최종 해체에 이르는 전주기 관리에 대한 공통 메커니즘

  • - VNF, VNFC(VNF Components) 및 PNF를 지정하고 상호 연결하기 위한 일관된 메커니즘

  • - 현재의 성능, 규모 그리고 네트워크 대역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새로운 VNF 인스턴스를 동적으로 생성하거나 또는 해체할 수 있는 공통 메커니즘

  • - NFVI, VIM 또는 인프라스트럭처 계층을 구성하는 다른 구성요소의 결함이나 오류를 감지하고 이를 복구하기 위한 메커니즘

  • - PNF와 VNF 사이에 네트워크 트래픽을 송수신하기 위한 메커니즘

  • - 동일한 인프라스트럭처상에서 서로 다른 제조업체의 서로 다른 VNF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운용할 수 있는 NFVI 서비스(NFVI as a Service)

5. 개발방법 및 표준화

OPNFV 프로젝트는 내년 초 첫 번째 배포판을 발표할 예정이며, 이를 위해 가능한 현존하는 공개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를 적극 활용할 예정이다.

만일 OPNFV 솔루션에 채택하고자 하는 공개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결과물에 수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해당 프로젝트 내에서 필요한 기능 개선이나 수정을 직접 적용하도록 하거나 또는 OPNFV 프로젝트에서 자체적으로 프로토타입을 개발하고 검증한 다음 해당 프로젝트에 패치하여 적용하는 방법을 모두 고려하고 있다.

OPNFV 솔루션의 기능 중 일부를 제공하는 공개 소프트웨어 프로젝트가 없는 경우에는 OPNFV 프로젝트에서 해당 기능을 직접 구현하거나 또는 해당 기능 개발을 담당할 새로운 공개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를 출범시키는 방안도 함께 고려하고 있다.

그리고, OPNFV 프로젝트는 VI-Ha 참조 포인트가 지원되는 한 특정 하드웨어 자원에 종속되거나, 또는 이를 강제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범용 하드웨어상에서 OPNFV 참조 플랫폼에 대한 통합 및 검증은 프로젝트 범위 내에 포함된다.

OPNFV 프로젝트는 표준문서의 제정이나 규격화 등의 표준화를 추진하진 않지만, 개방형 NFV 참조 플랫폼에 대한 표준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ETSI NFV ISG와의 밀접한 협력 관계를 지속할 예정이다. 특히, 표준에 기반한 참조 플랫폼의 개발과정에서 도출된 다양한 경험과 이슈를 표준화 단체에 피드백하여 표준화에 기여할 계획을 갖고 있다.

6. 주요 원천 프로젝트

OPNFV 프로젝트는 폭넓게 사용될 수 있는 NFV 참조 플랫폼을 개발하기 위해 기존의 다양한 공개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와의 협력 및 활용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 이를 위해 OPNFV 이사회와 기술위원회(TSC: Technical Steering Committee)는 초기 OPNFV 플랫폼을 구성할 다양한 기술과 공개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검토하여 선정할 예정이다. 현재 OPNFV 프로젝트에서 협력 및 활용하고자 하는 주요 원천 공개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로는 다음을 꼽을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추후 다른 프로젝트도 포함될 수 있다[11].

  • - 가상 인프라 관리: OpenStack[12], ApacheCloudStack[13]

  • - 네트워크 제어 및 가상 인프라: Open Daylight[14]

  • - 가상화 및 하이퍼바이저: KVM(Kernel-based Virtual Machine)[15], Xen[16], libvirt[17], LXC(Linux Containers)[18]

  • - 가상 스위치: Open vSwitch[19], Linux Bridge 등

  • - 데이터평면 인터페이스 및 가속장치: Intel DPDK(Data Plane Development Kit)[20], Open Dataplane[21]

  • - 운용체제: Linux 등

IV. 결론

현재 역사상 리눅스 다음으로 가장 많은 주목과 재정지원을 받고 있는 공개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는 바로 OpenStack이다. 2010년에 시작된 OpenStack이 이처럼 급성장하게 된 이유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그 중 하나를 꼽는다면 클라우드 환경에서 멀티테넌트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L3, 방화벽, 부하분산 서비스, VPN 서비스 등과 같은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를 as-a-Service 형태로 제공할 수 있는 Neutron 서비스의 출현을 꼽지 않을 수 없다.

새로운 배포판 발표와 함께 Neutron 서비스에 대한 기능 개선 및 안정화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또 ETSI NFV ISG의 NFV 요구사항과 구조 프레임워크을 구체화할 실체에 대한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면서, 작년 OpenStack Summit에서부터는 OpenStack을 기반으로 한 NFV 플랫폼 개발에 대한 얘기가 자주 언급되곤 했다.

이제 OPNFV 프로젝트의 공식 출범으로 NFV 플랫폼은 내년 초 첫 번째 공식 배포판 발표와 함께 점차 가시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OPNFV 프로젝트의 초기 개발범위가 NFVI와 VIM으로 제한되고, 시간적인 여유도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첫 번째 공식 배포판은 상당부분 OpenStack Juno 배포판(2014년 10월 발표) 또는 Kilo 배포판(2015년 4월 발표 예정)에 의존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런 다음 결함이나 고장에 대한 감지 및 복구 기능이나 99.999%의 서비스 가용성을 보장하기 위한 기능 등이 추가된 통신장비급의 가상 인프라 관리(VIM)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불어 OPNFV 프로젝트의 초기 배포판에서는 제외되었지만, 가상 네트워크 기능 관리(VNFM)나 조율(Orchestrator)에 대한 기능 개발이 OpenStack과 같은 기존 공개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또는 새로운 공개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를 통해 개발되어 머지않은 시점에 NFV 참조 플랫폼이 구성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기술은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 기술과 함께 기존 하드웨어 중심의 네트워크 인프라를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진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네트워크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상용화 단계에 접어든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 기술과 달리 표준화 단체를 중심으로 한 기술 논의와 상위 문서 작업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지만, 공유와 협력을 바탕으로 한 공개 소프트웨어 기반의 OPNFV 프로젝트를 통해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기술이 통신사업자와 장비제조사에게 모두 이익이 되며 소프트웨어 기반의 네트워크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는 핵심 기반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용어해설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고가의 통신장비에 내장된 여러 기능을 소프트웨어로 구현한 다음, 범용의 대용량 서버, 스토리지, 스위치로 구성된 클라우드 환경에서 필요에 따라 동적으로 가상의 네트워크 기능을 구성하고 운용할 수 있는 기술

약어 정리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BRAS

Broadband Remote Access Server

BSS

Business Support System

CAPEX

Capital Expenditure

CDN

Content Delivery Network

DPDK

Data Plane Development Kit

DPI

Deep Packet Inspection

EMS

Element Management System

ETSI

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

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SG

Industry Specification Group

KVM

Kernel-based Virtual Machine

LTE

Long-Term Evolution

LXC

Linux Containers

M&O

Management and Orchestration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NFV

Network Functions Virtualisation

NFVI

NFV Infrastructure

ODP

Open Data Plane

OPEX

Operating Expense

OPNFV

Open Platform for NFV

OSS

Operation Support System

PE

Provider Edge

PNF

Physical Network Function

QoE

Quality of Experience

SGSN

Serving GPRS Support Node

VIM

Virtual Infrastructure Manager

VNF

Virtualised Network Function

VNFC

VNF Components

VNFM

VNF Manager

VPN

Virtual Private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References

[1] T. Ford and M. Karlsson, “Using OpenStack to meet Telco needs,” OpenStack Summit Atlanta, May 2014.
[2] ETSI NFV, http://www.etsi.org/technologies-clusters/technologies/nfv
[3] ETSI NFV ISG, “Network Functions Virtualisation – Update White Paper,” Oct. 2013.
[4] ETSI NFV ISG, “Network Functions Virualisation(NFV); Architectural Framework,” ETSI-GS-NFV-002, V.1.1.1, Oct. 2013.
[5] ETSI NFV ISG, “Network Functions Virtualisation (NFV); Terminology for Main Concepts in NFV,” ETSI-GS-NFV-003, V.1.1.1, Oct. 2013.
[6] ETSI NFV ISG, “Network Functions Virtualisation – Introductory White Paper,” Oct. 2012.
[7] 최태상, 양선희, “캐리어급 NFV over SDN: 기술과 표준화 동향 및 발전 전망,” 전자통신동향분석, vol. 28, no. 6, 2013.12, pp. 13-27.
[8] 이종화, 신명기, “ETSI ISG NFV의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기술,” 정보과학회지, vol. 31, no. 9, 2013. 9, pp. 8-13.
[9] 이승익 외, “스마트인터넷을 위한 SDN 및 NFV 표준기술 동향분석,” 전자통신동향분석, vol. 29, no. 2, 2014. 4, pp. 79-86.
[10] OPNFV, http://www.opnfv.org
[11] OPNFV, “OPNFV: An Open Platform to Accelerate NFV,” White Paper, Oct. 2014.
[12] OpenStack, http://www.openstack.org
[13] Apache CloudStack, http://cloudstack.apache.org
[14] OpenDaylight, http://www.opendaylight.org
[15] KVM, http://www.linux-kvm.org
[16] Xen, http://www.xenproject.org
[17] libvirt, http://www.libvirt.org
[18] LXC, http://linuxcontainers.org
[19] Open vSwitch, http://www.openvswitch.org
[20] DPDK, http://www.dpdk.org
[21] Open Dataplane, http://www.opendataplane.org

(그림 1)

f001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의 비전<a href="#r003">[3]</a>

(그림 2)

f002

NFV 상위 프레임워크 구조<a href="#r004">[4]</a>

(그림 3)

f003

OPNFV 프로젝트의 초기 대상 범주<a href="#r011">[11]</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