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음원유통 동향

Trends of Digital Music Distribution

저자
김아영, 박찬우, 채원석, 서정혜, 이준우, 양웅연 / 스마트콘텐츠연구실
권호
30권 4호 (통권 154)
논문구분
SW·콘텐츠 기술동향 특집
페이지
71-81
발행일자
2015.08.01
DOI
10.22648/ETRI.2015.J.300408
초록
스마트 기기와 네트워크 인프라의 발전을 바탕으로 음원시장의 디지털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온라인 음원유통 방식이 다양화됨에 따라 온라인 음원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와 효율적인 유통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온라인 음원유통에 사용되는 국내외 식별체계에 대해 설명하고, 온라인 음원유통을 위한 플랫폼과 표준화 동향에 대해 설명하고, 향후 온라인 음원유통의 발전방향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2919 Downloaded 4155 Viewed
목록

Ⅰ. 머리말

스마트폰, 태블릿 등 스마트 기기와 네트워크 인프라의 발전에 따라 스마트콘텐츠 시장은 타 산업 분야와의 융합 및 신시장 창출을 위한 노력으로 새로운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다. 특히 음원시장은 IT기술발전과 함께 새로운 서비스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2014년 전 세계 음원시장은 150억달러로 전년과 비교할 때 변동이 없었지만, 온라인 음원시장은 전년 대비 8% 증가한 68억 5,000만달러를 기록하여 전년 대비 7% 감소한 CD매출액 68억 2,000만달러를 넘어섰다[1].

최근 모바일 인터넷 환경개선과 스마트 기기의 확산에 따라 온라인 음원시장이 음원을 소유하는 방식의 다운로드 서비스 중심에서 음원에 접근하는 방식의 스트리밍 서비스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으며, 관련 기술의 발전을 바탕으로 음원시장의 디지털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표 1> , (그림 1) 참조]. 또한, 개인용 스마트 기기의 보급확산에 따른 음원유통시장이 오픈마켓 형태로 생태계 변화를 추구하고 있으며, 온라인 음원유통은 적은 비용으로 가장 빠르게 세계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통로가 되었다. iTunes, Amazon, Google Music 등 다양한 유통채널을 통해 온라인 음원시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온라인 음원시장은 최근 들어 스마트 기기의 이용과 더불어 점차 확대되고 있다[3].

<표 1>

세계 음원시장 규모 및 전망[2]

images_1/2015/v30n4/ETRI_J003_2015_v30n4_71_t001.jpg

* 2013년 이후는 전망치이며, Compound Annual Growth Rate(CAGR)은 연평균성장률을 의미함.

(그림 1)

세계 음원시장 변화 추이[2]

images_1/2015/v30n4/ETRI_J003_2015_v30n4_71_f001.jpg

이처럼 온라인 음원유통 방식이 다양화됨에 따라 온라인 음원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와 효율적인 유통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온라인 음원을 해외에 유통하기 위해서는 각 음원의 분류를 위해 글로벌 하게 통용되는 국제표준 식별체계를 사용하는 것이 필수가 되었다. 온라인 음원 식별체계는 개별 온라인 음원에 ID 및 메타데이터를 부여함으로써 각각의 온라인 음원을 명확히 식별하는 규약으로, 음원의 영구적인 고유번호가 되며 스토어 판매나 저작권료 징수에 있어 판매 실적과 다운로드 횟수 등을 보다 효율적으로 추적 및 관리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온라인 음원유통에 사용되는 국내외 식별체계에 대해 설명하고, 온라인 음원유통을 위한 플랫폼 동향과 표준화 동향에 대해 설명하고, 향후 온라인 음원유통 발전방향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Ⅱ. 온라인 음원유통 식별체계 동향

1. 국외 식별체계

가. ISRC

International Standard Recording Code(ISRC)는 ISO 3901:2001 표준에 따라 개별 음원과 뮤직비디오를 대상으로 음악 저작권(작사, 작곡, 편곡, 연주)과 저작 인접권(연주, 공연)의 실체를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국제표준 식별체계이다. 등록된 ISRC 코드는 음원 및 뮤직비디오의 유통사, 온라인 사업자, 음악라이선싱 업체에 제공되며, 실제 iTunes, Amazon 등 해외 주요 온라인 음원 서비스 업체들이 ISRC를 음원 판매현황 파악과 수익분배에 활용하고 있다[4]-[6].

ISRC 식별체계는 식별자를 발급하고 통합관리하는 중앙관리시스템의 부재로 식별자 및 메타데이터에 대한 관리를 International ISRC Agency에서 하지 않고 지역별로 존재하는 National ISRC Agency 또는 Manager에서 독립적으로 등록시스템을 구축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이들 또한 공통 메타데이터 등록을 의무화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사실상 표준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ISRC 메타데이터를 전달하는 표준 프로토콜은 현재 부재한 상태이나, 국제음반산업협회(International Federation of the Phonographic Industry: IFPI)에서 진행하고 있는 신규 ISRC방식이 ISAN의 Registration Authority와 같은 모습을 지향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향후에는 단일 또는 배치 레코드 처리방식에 대한 정의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ISRC는 ISO 3901:2001 표준문서에서 메타데이터를 정의하지 않고 있으나, Global Release identifier(GRid) 표준에서 언급되고 있는 ISRC 메타데이터(ISRC Reference Descriptive Metadata) 항목을 조사하여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항목들을 유추할 수 있으며 이는 <표 2>와 같다[7].

<표 2>

ISRC 참조 메타데이터[7]

images_1/2015/v30n4/ETRI_J003_2015_v30n4_71_t002.jpg

나. ISWC

International Standard Works Code(ISWC)는 ISO 15707:2001 표준에 따라 음원, 악보 등 구체적 형태로 출판 이전의 상태에 있는 무형의 창작물로서의 음악작품을 대상으로 하는 국제표준 식별체계로, 음악작품의 저작권 관리와 정보교환에 사용된다. ISWC는 음악작품의 출판여부, 신규 창작여부 및 저작권 상태와 관계없이 등록할 수 있고, ISO 15707:2001 표준문서에서 ISWC 메타데이터를 기술하고 있다[8][9]. ISWC는 음악작품 관리를 위해 International Confederation of Societies of Authors and Composers(CISAC)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국제표준을 위한 등록관리는 International ISWC Agency에서 담당하고 있다. 코드가 부여된 작품에는 메타데이터로 작성되고 있으며, ISWC의 데이터베이스로 유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3년 6월 KS X ISO 15707 ‘문헌정보-국제표준 음악작품 코드(ISWC)’로 등록되어 있다.

다. ISAN

International Standard Audiovisual Number(ISAN)는 ISO 15706:2002 표준에 따라 시청각자료(Audio Visual Work)를 대상으로 하는 국제표준 식별체계로, 동영상, 단편영화, 영화예고편, 산업용, 교육용, 훈련용 상업광고, 운동경기 공연의 녹화물 등 시청각요소를 포함하는 통합저작물 또는 멀티미디어 작품 등을 식별할 수 있으며, 음악 저작물 혹은 사운드 레코딩, 사진, 슬라이드 쇼 등 정적인 작품이나 시청각적 요소를 포함하지 않는 멀티미디어 작품은 식별할 수 없다[10]-[12].

앞서 언급한 ISRC는 음악작품이 음원으로 표현된 것을 식별하는 반면, ISAN은 언어에 의한 시청각자료로 기록내용에 표현된 것을 식별한다[<표 3> 참조].

<표 3>

국외 식별체계 구성요소와 예시[15][15]

images_1/2015/v30n4/ETRI_J003_2015_v30n4_71_t003.jpg

ISO 15706:2002 표준문서에서 ISAN 메타데이터를 기술하고 있으며, Part 1: Audiovisual Work Identifier와 Part 2: Version Identifier로 구성된다.

ISAN 등록을 위해서 등록자는 연관된 정보를 제공해야 하고 각 ISAN-RA(Registration Agency)는 등록자의 등록정보를 기반으로 서술정보를 유지 관리하며, ISAN 식별체계는 국제시청각작품관리협회(Association of International Collective Management of Audiovisual Works: AGICOA), 국제저작권협회연맹(CISAC), 세계영화제작자연맹(International Federation of Film Producers Associations: FIAPF)가 공동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2003년 6월 KS X ISO 15706 ‘문헌정보-국제표준 시청각자료 번호(ISAN)’로 등록되어 있다.

라. ISNI

International Standard Name Identifier(ISNI)는 ISO 27729:2012 표준에 따라 저작물의 창작과 유통에 관련된 연구자, 발명가, 작가, 예술가, 영상 제작자, 연주자 등을 대상으로 하는 국제표준 식별체계로, 저작물의 창작, 공연, 제작, 관리, 유통에 관련되는 자연인과 법인(기업, 단체), 가상의 인물(배역, 작품의 등장인물 등)을 대상으로 고유 식별번호를 부여하여 저작권의 관리, 유통 및 수익분배 등과 관련한 당사자를 빠르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

ISNI는 중계 식별자(Bridge Identifier)로서 각기 다른 데이터베이스를 연계하여 정보를 제공함에서 저작권자를 구분하는데 가장 필수적인 최소한의 메타데이터를 사용하고, 나머지 연관정보는 접근이 제한된 개별 데이터베이스에 남겨두어 각 산업의 파트너들이 기밀정보의 유출없이 원활히 정보교환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ISNI 식별체계는 ISNI International Agency에서 운영 및 관리하고 있으며, ISNI 발급과 메타데이터 수집에 관련한 시스템을 개발하고, ISNI 등록, 메타데이터 갱신, 업데이트, 확장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ISO 27729:2012 표준문서에서 ISNI 메타데이터를 기술하고 있으며[13][14], 현재 ISNI는 국제저작권협회에서 지정한 등록기관이 부여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2015년 3월 국립중앙도서관이 ISNI 등록기관으로 지정되어 운영 및 식별체계를 확립 중이다.

2. 국내 식별체계

가. UCI

Universal Content Identifier(UCI)는 콘텐츠의 종류와 관계없이 온라인상에서 유통되는 모든 형식의 콘텐츠를 대상으로 효율적인 유통과 활용을 위하여 유일한 코드를 부여하고 이를 관리하는 국내표준으로, 정보 관리, 저작물 위치 및 접근관리, 메타데이터 관리, 저작물의 온라인 유통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한 국가 디지털 콘텐츠 식별체계이다[16][17].

UCI는 식별체계 구성요소인 구문구조, 메타데이터, 운영절차, 운영시스템 네 요소가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된 체계로, 기존의 KOI(Knowledge Object Identifier), DOI(Digital Object Identifier), ISBN(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 등 다양한 분야의 온오프라인 식별체계를 수용하여 연계할 수 있는 구조이다.

UCI의 메타데이터는 UCI 식별메타데이터와 UCI 응용메타데이터로 구성된다. UCI 식별메타데이터는 콘텐츠 식별을 위한 메타데이터 표준으로 정의되며, UCI를 포함하여 총 9개로 구성된다[<표 4> 참조]. UCI 응용메타데이터는 각 UCI 등록관리기관에서 관리하는 특정응용을 위한 콘텐츠의 메타데이터로서 자유롭게 정의하여 응용메타데이터를 생성관리하고 있다.

<표 4>

UCI 식별 메타데이터[17]

images_1/2015/v30n4/ETRI_J003_2015_v30n4_71_t004.jpg

나. ICN

Integrated Copyright Number(ICN)은 저작물과 저작권자에 대한 정보뿐만이 아니라 저작권의 유통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저작물 사용내역에 대한 정산과 분배, 불법모니터링, 필터링을 목적으로 권리 위탁관계, 저작물 이용계약에 관한 포괄적인 통합적인 정보를 제공한다[18].

ICN은 한국저작권위원회가 총괄기구의 역할을 맡고, 저작권 관리 대행기관을 등록기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총괄기구는 등록기관을 장르별, 기관별로 나누어 운영하도록 하고 있으며 등록기관 번호 및 식별자를 총괄한다. 등록기관은 저작권자 등록과 저작물 등록 및 관리번호 발급을 담당하며 개발 저작권자인 등록자는 등록기관을 통하여 ICN을 부여 받는다.

ICN은 저작권 권리관리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저작권라이선스관리시스템(Copyright License Management System: CLMS)에서 부여한 번호로 통합저작물관리번호와 통합저작권자번호로 구성되어 있다.

  • •  통합저작물관리번호

    관리기관에 따라 다르게 부여한 동일 저작물에 대한 고유 저작물 번호

  • •  통합저작권자번호

    저작권신탁단체별로 부여하던 저작권자번호를 통합한 고유 저작권자 번호

Ⅲ. 온라인 음원유통 플랫폼 동향

1. 다운로드 플랫폼

가. iTunes Music Store

2003년 20만개의 온라인 음원을 바탕으로 iTunes Music Store를 본격출시, 2012년 12월 iTunes Store는 56개국을 추가하여 전 세계적으로 119개국에서 이용하고 있다[(그림 2) 참조]. 현재 약 2,800만개의 음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2011년까지 판매된 온라인 음원만 16억개에 이른다. 이를 통해 현재 약 5억 2500만명의 가입자와 4억 대의 디바이스를 보유하고 있다[19].

(그림 2)

iTunes Music Store[20]

images_1/2015/v30n4/ETRI_J003_2015_v30n4_71_f002.jpg

나. Amazon MP3

Amazon.com에서 운영하는 음원유통 사이트로 2007년 9월 베타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2008년 12월 3일 영국, 2009년 4월 독일, 2009년 6월 프랑스 등에서 서비스를 시작하였다[(그림 3) 참조]. 서비스 시작 후 EMI, Universal을 포함한 2만개 이상의 제작사(label)와 18만명 이상의 음악가로부터 2백만 곡 이상을 제공받았으며, 2007년 12월 Warner, 2008년 1월 Sony가 참여하여 현재 2,200만 곡이 제공되고 있다.

(그림 3)

Amazon MP3[21]

images_1/2015/v30n4/ETRI_J003_2015_v30n4_71_f003.jpg

다. Google Play

2012년 11월 16일 Google Play와 연계한 음원 다운로드 서비스인 Google Music 출시로 온라인 음악시장에 진출하였다. Google Music은 Warner Music, Universal, Sony, EMI, 그리고 1000여개의 인디 음반사와 저작권 계약을 체결하고, 320kbps 음질수준의 음원을 제공한다[(그림 4) 참조].

(그림 4)

Google Play[22]

images_1/2015/v30n4/ETRI_J003_2015_v30n4_71_f004.jpg

아티스트가 직접 음원을 업로드하여 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Artist Hub를 운영하고 있으며, Google의 자체 SNS인 Google+를 통해 Google Music 이용자가 구매한 음원은 친구와 공유 할 수 있고, 1회에 한하여 전곡 감상이 무료로 지원된다.

2. 스트리밍 플랫폼

가. iTunes Music Store

iTunes Radio는 애플이 2013년 9월에 개시한 인터넷라디오 서비스로 애플의 여러 단말에서 이용 가능하다. 광고 기반의 무료 서비스로 제공되고 있으며, 유저들은 음원 트랙을 건너뛰고 다음 곡을 듣거나 감상 채널을 변경하거나 현재 듣고 있는 곡을 바로 아이튠즈 스토어에서 구매 가능하다[<표 5> 참조]. iTunes Match 서비스와 연동하여 개인이 선호하는 음악과 뮤지션들의 곡을 추천하고, SNS를 이용해 지인들과 음원을 공유하는 소셜 뮤직 기능도 제공한다.

<표 5>

온라인 음원유통 플랫폼 유형[2]

images_1/2015/v30n4/ETRI_J003_2015_v30n4_71_t005.jpg

나. Google Music Store

Google Music Store는 보유 베타버전의 클라우드 음악 서비스로서, 음원을 무료로 업로드해서 들을 수 있으며, 2012년 5월 최대 2만개 보유 음원을 업로드하여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개시해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다. Amazon Music

Amazon Music은 기존의 Amazon Cloud Player 서비스를 업데이트하여 클라우드 기반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011년 3월 말부터 미국 내 아마존 이용자를 대상으로 Amazon MP3의 1500만개 음원을 근간으로 클라우드 음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라. Spotify

Spotify는 2008년 10월 스웨덴에서 설립된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로 약 2,000만개의 방대한 음원을 보유하고 있다. 메이저 음반사에서 라이선스한 음악을 스트리밍으로 들을 수 있으며, 곡과 곡 사이 광고가 삽입되어 광고를 들으면 무료로 음악을 즐길 수 있다. Spotify는 크게 무료와 프리미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2014년 5월 기준으로 유료 가입자가 1,000만명을 넘어섰다. 특히 스마트폰 센서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전문가가 제공하는 적절한 플레이리스트를 추천하는 서비스(Mood-Tailored)를 지원하며, 청취기록을 바탕으로 음악을 추천하는 디스커버리 기능을 강화하여 재생목록 탐색 및 새로운 음악 찾기, 리뷰 등을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23].

마. Deezer

Deezer는 2007년 8월 프랑스에서 시작된 스트리밍 서비스로, 2013년 기준 전 세계 182개국에 달하는 다양한 나라들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히어디스(Hear This)라는 음악 발견 및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여, 이용자의 청취행태, 지인들의 음악 재생 목록, Deezer 음악 편집자의 추천에 기반해 자동으로 음원을 추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장르 및 지역별로 새로운 음악을 탐색해 볼 수 있는 서비스도 함께 제공하고 있다.

Ⅳ. 온라인 음원유통 표준화 동향

1. DDEX 개요

Digital Data Exchange(DDEX)는 메이저 음반사(소니, 워너, 유니버셜 등)들과 집중관리단체들의 음악산업 관련 포럼이었던 ‘MI3프로젝트’에서 파생된 협의체로, 온라인 음원유통 산업에 관련된 다양한 기관 사이의 통신 규약을 정의할 목적으로 글로벌 음반 제작사들과 집중관리단체들이 참여하여 2006년 5월에 설립되었다. DDEX는 디지털 음악분야에서 사실상의 표준(de Facto Standard)를 개발하는데 국제 음악산업의 유통환경이 앨범 중심의 오프라인 시장에서 디지털 음원 중심의 온라인 시장으로 변화됨에 따라 유통환경의 효율화와 저작권료의 투명한 정산 및 분배를 위한 표준화의 필요성에 따라 활동을 시작하였다[24].

가. 표준화 목적

DDEX에서 진행하는 표준화는 신탁관리기관, 서비스사업자, 음반제작사, 방송사 등과 같은 음반산업계의 다양한 기관들이 동일한 곡에 대하여 상이한 메타데이터의 생성 및 관리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들의 해결하고, 서비스 사업자의 음원판매 로그 데이터 형식의 표준화를 통한 정확한 판매내역의 확인 및 투명한 저작권료의 징수/분배의 기준을 마련한다. 또한 명확한 라이선스 계약의 식별 및 계약내역 교환을 통한 디지털 음원 이용체계의 효율적 관리기반을 마련한다[25].

나. 주요 활동

DDEX는 음악산업이 디지털화됨에 따라 적은 규모의 거래에서부터 대량의 거래에 이르기까지 효율적인 정보 표준 메시지를 정하고 조직 간 공급체계 정비를 수행하고 있으며, 특히 온라인 음원판매 데이터의 추적 효율화를 위한 다양한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음원유통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 교환 기술을 개발하고, 음악정보, 발매정보, 정산 로그 포맷, 메타데이터 호환을 위한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FTP나 웹서비스를 위한 자원파일 및 메시지 교환 기술과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다.

- 음원유통을 위한 데이터 교환 기술의 개발 및 표준화 추진

- 음악정보, 발매정보, 정산 관련 로그 포맷, 메타데이터 호환 표준화 추진

- FTP와 웹서비스를 사용하는 자원파일 및 메시지 교환 기술의 개발 및 표준화 추진

- 5개의 유럽 음악권리 조직(MROs)이 DDEX 표준을 채택했으며 다양한 권리사 및 서비스 사업자들의 참여유도

다. 총회 및 WG 구성

DDEX는 총회 성격인 General Assembly를 연 3회 개최하고 Working Group(WG)별 Teleconference를 수시로 개최하며 DDEX 표준에 관련된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DDEX WG은 Non-Technical WG 4개와 Technical WG 9개로 구성되며, WG의 세부 구성은 다음과 같다.

  • •  Non-Technical WG

    Legal WG(표준의 법률 관련 WG), QA WG(표준의 품질 관련 WG), Technical WG(표준 개발을 위한 WG), Communication WG(통신 프로세스를 위한 WG)

  • •  Technical WG

    Automated Message Exchange Protocol(AMEP) WG , Business Profile WG, Message Maintenance WG, Handbook WG, Classical Release WG, Metadata Best Practice WG, Release Identification WG, Conformance WG, Ontology WG

라. IPR 정책

DDEX 특허정책은 특허의 디자인 등록 및 설계특허 등 소유를 주장할 수 없도록 명시하였으며, 저작권 정책 또한 회원사에 한해서만 저작권(배포, 수행, 표시, 개조, 복제 및 파생상품)을 허용하였다. 기타 영업비밀이나 소유 기술 등 독점 기술에 대해서는 비공개로 설정하였다.

2. DDEX 핵심 표준

가. ERN

Electronic Release Notification Message Suite(ERN)은 제작자가 서비스 사업자에 제공하는 발매정보 표준으로, 새로운 음원의 Release를 알리는 메시지 양식이며 표준 XML Schema가 정의되어 있다[(그림 5) 참조].

(그림 5)

ERN 구성[24]

images_1/2015/v30n4/ETRI_J003_2015_v30n4_71_f005.jpg
  • •  음반사가 디지털 상품을 출시할 때 ERN 메시지를 통해 디지털서비스제공자(DSP)에게 출시될 앨범과 거래조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함.
  • •  음악을 소비자에게 이용하게 한 DSP는 음반사와 음악 권리자 단체에 Digital Sales Reporting Message Suite(DSR) 메시지를 사용하여 유통된 앨범에 관한 판매정보를 제공함.

나. DSR

DSR은 정산을 위한 사용내역정보 표준이다. 디지털 서비스 제공자들이 사업 파트너, 저작권자 및 에이전트들에게 저작물의 판매 및 이용정보를 전달하고, 유통 채널의 종류와 양적정보 및 가격정보를 제공하는데 최근에는 오디오-비디오 저작물, 단편이나 장편 형식의 뮤직비디오, TV 프로그램 및 장편영화 판매 보고도 가능할 수 있도록 업데이트가 진행 되었다[(그림 6) 참조].

(그림 6)

DSR 구성[24]

images_1/2015/v30n4/ETRI_J003_2015_v30n4_71_f006.jpg
  • •  DSP의 음반사 또는 음악 권리단체에 대한 디지털 판매량 보고, 일자별 상세 판매정보, 음원 이용 및 유통채널 타입 상세정보를 포함하며, 판매량과 가격정보 전달기능을 제공함.
  • •  음반사에 보내지는 음원 사용내역과 음악 권리단체에 보내지는 음원 사용내역으로 구성됨.
  • •  음반사에 보내지는 음원 사용내역은 음반사가 필요로 하는 부분에 맞춰 작성된 메시지로 판매된 출시 앨범 모두에 관해 요약된 정보와 아울러 판매량 정보를 포함해 전달함.
  • •  음악 권리단체가 필요로 하는 부분에 맞춰 작성된 메시지로 음악 저작물 정보 등 메타데이터를 포함하여 판매량 정보를 함께 제공함.

다. MWL

Musical Work Licensing Message Suite(MWL)은 음악 사용에 대한 라이선스 표준이다[(그림 7) 참조].

(그림 7)

MWL 구성[24]

images_1/2015/v30n4/ETRI_J003_2015_v30n4_71_f007.jpg

라. AMEP

AMEP는 메시지 교환의 자동화를 위한 프로토콜 표준으로, FTP나 SFTP를 이용한 FTP 모드와 REST를 이용한 웹서비스 모드로 구성된다.

Ⅴ. 맺음말

최근 스마트 기기의 확산과 네트워크 인프라의 발전으로 온라인 음원유통의 환경 및 이용행태가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기존의 음원 다운로드 방식 이외에 가입형 스트리밍 서비스, 클라우드 서비스, 동영상 무료 서비스 등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이 등장하면서 소비자들이 온라인 음원을 이용할 수 있는 선택의 폭이 넓어졌기 때문이다. 이러한 행태 변화는 온라인 음원유통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처럼 온라인 음원유통 방식이 다양화됨에 따라 온라인 음원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와 효율적인 유통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온라인 음원을 해외에 유통하기 위해서는 각 음원에 글로벌하게 통용되는 국제표준 식별체계를 사용하는 것이 필수가 되었다. 하지만 국내 온라인 음원시장은 아직도 국제표준 식별체계를 고려하지 않은 유통방식이 대부분이다. 향후 국내 음원유통에도 국제표준 식별체계를 적용하여 효율적 유통체계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용어해설

음원 식별체계 개별 음원에 ID 및 메타데이터를 부여함으로써 각각의 온라인 음원을 명확히 식별하는 규약

DDEX 온라인 음원유통에 관한 메타데이터의 교환 규격 표준화 및 자동화를 위해 설립된 국제적 개방형 비영리 단체

약어 정리

AMEP

Automated Message Exchange Protocol

AGICOA

Association of International Collective Management of Audiovisual Works

CISAC

International Confederation of Societies of Authors and Composers

CLMS

Copyright License Management System

DDEX

Digital Data Exchange

DSR

Digital Sales Reporting Message Suite

ERN

Electronic Release Notification Message Suite

FIAPF

International Federation of Film Producers Associations

GRid

Global Release identifier

ICN

Integrated Copyright Number

IFPI

International Federation of the Phonographic Industry

ISAN

International Standard Audiovisual Number

ISNI

International Standard Name Identifier

ISRC

International Standard Recording Code

ISWC

International Standard Works Code

MWL

Musical Work Licensing Message Suite

UCI

Universal Content Identifier

WG

Working Group

[1] 

IFPI, “Digital Music Report 2015,” May 2015.

[2] 

한국콘텐츠진흥원, “세계 음악시장 규모 및 전망 (2009 ~2018),” 2014. 10. 30.

[3] 

한국콘텐츠진흥원, “세계 디지털 음악시장의 유통과 수익구조 분석,” 코카포커스, 제16호, 2012. 12. 27.

[4] 

ISRC, http://isrc.ifpi.org/en/

[5] 

ISO 3901:2001,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International Standard Recording Code (ISRC),” 2001.

[6] 

IFPI, “International Standard Recording Code (ISRC) Handbook 3rd Edition,” 2009, http://www.ifpi.org/con tent/library/isrc_handbook.pdf

[7] 

IFPI, “Global Release Identifier (GRid) Standard Version 2.1,” Feb. 2007, http://ifpi.org/downloads/GRi d_Standard_v2_1.pdf

[8] 

ISWC, http://www.iswc.org/

[9] 

ISO 15707:2001,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International Standard Musical Work Code (ISWC),” 2001.

[10] 

ISAN, http://www.isan.org/

[11] 

ISO 15706:2002,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International Standard Audiovisual Number (ISAN),” 2002.

[12] 

ISAN, “ISAN Metadata Schema Version 1.12,”” Mar. 2012, http://www.isan.org/docs/isan_data_fields.pdf

[13] 

ISNI, http://isni.org/

[14] 

ISO 27729:2012,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International Standard Name Identifier (ISNI),” 2012.

[15] 

김정현, “ISO/TC46과 국제표준번호제도의 발전 동향,” 정보관리연구, 제35권 제3호, 2004, pp. 51-74.

[16] 

한국저작권위원회, http://www.uci.or.kr/

[17] 

한국저작권위원회, “UCI 명세서 Version 3.0,” 2012. 11

[18] 

디지털저작권거래소, http://www.kdce.or.kr/

[19] 

Engadget, “Apple: 16 Billion iTunes Songs Downloaded, 300 Million iPods Sold,” Oct. 4th, 2011.

[20] 

iTunes Music, http://www.apple.com/itunes/music/

[21] 

Amazon MP3, http://www.amazon.com/MP3-Music-Download/b?node=163856011

[22] 

Google Music, http://music.google.com/

[23] 

한국콘텐츠진흥원, “2014 해외 콘텐츠시장 동향조사 1권 총괄편,” 2015. 1. 28.

[24] 

DDEX, http://www.ddex.net/

[25] 

김주엽, “저작물 관리·유통·분배·정산에 대한 혁신 서비스 모델 연구 개발,”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 2014. 3. 31.

(그림 1)

세계 음원시장 변화 추이[2]

images_1/2015/v30n4/ETRI_J003_2015_v30n4_71_f001.jpg
(그림 2)

iTunes Music Store[20]

images_1/2015/v30n4/ETRI_J003_2015_v30n4_71_f002.jpg
(그림 3)

Amazon MP3[21]

images_1/2015/v30n4/ETRI_J003_2015_v30n4_71_f003.jpg
(그림 4)

Google Play[22]

images_1/2015/v30n4/ETRI_J003_2015_v30n4_71_f004.jpg
(그림 5)

ERN 구성[24]

images_1/2015/v30n4/ETRI_J003_2015_v30n4_71_f005.jpg
(그림 6)

DSR 구성[24]

images_1/2015/v30n4/ETRI_J003_2015_v30n4_71_f006.jpg
(그림 7)

MWL 구성[24]

images_1/2015/v30n4/ETRI_J003_2015_v30n4_71_f007.jpg
<표 1>

세계 음원시장 규모 및 전망[2]

images_1/2015/v30n4/ETRI_J003_2015_v30n4_71_t001.jpg

* 2013년 이후는 전망치이며, Compound Annual Growth Rate(CAGR)은 연평균성장률을 의미함.

<표 2>

ISRC 참조 메타데이터[7]

images_1/2015/v30n4/ETRI_J003_2015_v30n4_71_t002.jpg
<표 3>

국외 식별체계 구성요소와 예시[15][15]

images_1/2015/v30n4/ETRI_J003_2015_v30n4_71_t003.jpg
<표 4>

UCI 식별 메타데이터[17]

images_1/2015/v30n4/ETRI_J003_2015_v30n4_71_t004.jpg
<표 5>

온라인 음원유통 플랫폼 유형[2]

images_1/2015/v30n4/ETRI_J003_2015_v30n4_71_t005.jpg
Sign Up
전자통신동향분석 이메일 전자저널 구독을 원하시는 경우 정확한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