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EEE 802.15.3e 초고속 근접통신 표준기술 동향

Trends for Close Proximity Communications of IEEE 802.15.3e

저자
신경철, 김영훈, 이재승, 이문식, 권동승 / 무선응용연구4실
권호
31권 1호 (통권 157)
논문구분
초연결 통신인프라 기술 특집
페이지
45-57
발행일자
2016.02.01
DOI
10.22648/ETRI.2016.J.310105
초록
스마트폰을 포함한 고성능 모바일 기기들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통신사업자의 네트워크를 경유하지 않더라도 주변 기기 간 직접(Point-to-Point: P2P) 통신을 지원하는 다양한 방식의 통신기능이 스마트폰, 카메라 등 다양한 기기에 탑재됨에 따라 근접통신 기반의 다양한 신규 서비스들이 출현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주변의 IoT 기기들과도 직접통신을 통해 정보를 교환하는 등 동영상, 음악 등의 큰 용량의 미디어를 통한 생활정보 획득이 일상화되고 있다. 모바일 사용자들이 미디어 정보를 네트워크 기반의 정보 소통이 아닌, 모바일/IoT 기기 간 직접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네트워크의 부하를 경감하고, 사용자의 정보전달이 근접거리에서 보다 안전하게 소통되어 편리한 ICT 일상생활로 변화할 것이다.
   3037 Downloaded 6937 Viewed
목록

Ⅰ. 머리말

이동하면서 영화나 방송프로그램을 즐겨보고, 메신저를 통해서 대화하는 모바일 사용형태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모바일 트래픽을 지속적으로 증가시키고 있다. 모바일 이용자들이 사용하는 데이터가 주로 동영상 위주로 변화하고 있다. 인터넷 트래픽 분석업체인 샌드바인에 따르면 북미지역의 경우 인터넷 트래픽의 79% 이상이 영화와 음악 관련 스트리밍 서비스가 차지하고 있다. 이는 35%였던 5년 전에 비해 44%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인터넷 트래픽 상위 서비스로는 실시간 엔터테인먼트, SNS, 웹브라우징 등이 있다[1]. 또한, 영화 관련한 토렌트 사이트에 올라오는 인기영화 100편을 분석한 결과 영화 한 편당 파일의 평균 파일 용량은 약 1.3GB였다[2]. 국내의 경우, 2012년 1월부터 매월 무선데이터 트래픽 통계를 발표하는 미래창조과학부의 무선데이터 변화를 보면, (그림 1)과 같이 2014년 3월 LTE-A 도입으로 인해 무선데이터 트래픽 증가가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2012년 1월부터 2015년 10월까지 CAGR 57% 큰 폭의 증가하였다[3].

(그림 1)

국내 무선데이터 트래픽 변화

images_1/2016/v31n1/ETRI_J003_2016_v31n1_45_f001.jpg

이는 모바일 사용자들이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고 쉽게 인터넷에 접속함으로써 이동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으려 하는 욕구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용자의 요구는 통신 네트워크의 부하를 증가시키고, 네트워크 장비의 증설로 인한 통신사업자의 비용 증가로 연결된다. 사용자 또한 네트워크 장비의 한계로 인해 통신 속도의 저하를 유발하게 된다.

현재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무선통신 환경은 (그림 2)와 같이 사람과 사람의 통신 서비스 형태에서 IoT 통신서비스로 점차 확대되어가고 있으며, Wi-Fi, Bluetooth 중심의 근거리 무선통신에서 더 통신영역이 좁아진 근접통신영역으로 줄어들고 있다. 또한, 사용자 서비스 인터페이스는 touch 스크린에서의 touching User Experience(UX)에서 통신하는 두 기기 간 가까이 접근하면 연결이 될 수 있는 approaching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또한, 통신 대상은 모바일 기기에 한정하지 않고, 주변에 산재한 많은 IoT 기기까지 확산하고 있다[4].

(그림 2)

이동/무선통신 서비스 및 기술 변화

images_1/2016/v31n1/ETRI_J003_2016_v31n1_45_f002.jpg

스마트폰을 비롯한 많은 단말의 데이터 교환은 사용자 주변에 있는 모바일 기기 또는 IoT 기기 간에 이루어지며, 미디어를 비롯한 대용량 데이터의 정보교환은 더더욱 근접한 기기와 이루어지는 추세이며, 대표적인 경우는 USB를 통한 또는 Wi-Fi를 통한 기기 간 데이터 교환이다. 따라서 사용자 주변의 인접한 모바일/IoT 기기 간 데이터를 무선으로 아주 빠르게 송수신을 하거나 10cm 이내에서 네트워크 연결 없이 두 단말 간 직접 통신하는 두 무선기기의 새로운 정보전달 능력을 가지고 있다[5].

이러한 새로운 기술의 표준을 위해 IEEE 802.15.3e에서는 2015년 5월부터 TG를 시작하여 2016년 1월에 draft 1.0 완료 및 2017년 7월에는 표준 완료를 목표로 표준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EEE 802. 15.3e에서 진행되고 있는 초고속 근접통신 MAC/PHY 기술에 대한 서비스 소개, 요구사항, MAC 기술, PHY 기술 등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Ⅱ. 초고속 근접통신 서비스

IEEE 802.15.3e Task Group에서는 10cm 이내에서만 통신이 가능한 근접통신 Point-to-Point(P2P) 서비스를 제시하면서, 주요 응용서비스로 키오스크 다운로딩 서비스나 지하철 티켓 게이트 다운로딩 서비스와 같이 공공영역에서의 초고속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시하고 있으며, 개인 영역에서는 저장장치에 담긴 대용량 콘텐츠의 고속 전송 서비스를 제시하고 있다.

(그림 3)

초고속 근접통신 주요 서비스 예시

images_1/2016/v31n1/ETRI_J003_2016_v31n1_45_f003.jpg

초고속 근접통신은 (그림 3)과 같이 실시간 초고속을 지향하는 지하철 티켓 게이트 다운로딩 서비스와 시간에 덜 민감하면서 초고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키오스크 다운로딩 서비스나 데이터 무선저장장치 등에 활용이 가능하다.

IEEE 802.15.3e에서는 서비스에 따라서 한 쪽 기기는 초기 연결을 위한 비콘을 전송하는 역할을 정할 수도 있고, 또는 초기에 두 단말 간 초기 random back-off에 의한 역할을 정할 수도 있다. 하지만 실시간 서비스인 티켓 게이트 다운로딩 서비스는 티켓 게이트가 P2P Coordinator(PPC)로써 역할을 지정하여 보다 빠른 접속 및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키오스크 다운로딩 서비스나 스마트폰, 카메라 등의 모바일 기기나 무선저장장치나 메모리가 탑재된 IoT 간 데이터 전송 서비스는 티켓 게이트 다운로딩 서비스에 비해 시간에 덜 민감하지만, 최대 100Gbit/s를 전송할 수 있는 초고속 무선전송 능력을 요구받고 있다.

IEEE 802.15.3e High-Rate Close Proximity(HRCP) Task Group에서 개발한 앞의 P2P 애플리케이션 외에도 HRCP TG에서 개발하는 표준기술의 특성인 고속통신, 10cm에서만 통신이 가능한 근접통신, 아주 빠른 연결설정 등으로 인해 스마트 광고, 스마트 게임 카드, 교육용 미디어 카드 등 저복잡도/저전력 P2P 애플리케이션에 유용할 것이다.

Ⅲ. IEEE 802.15.3e 요구사항

IEEE 802.15.3e TG에서 작성한 technical guidance document에는 근접통신 P2P 애플리케이션, technical requirements, regulation requirements, evaluation criteria 등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6].

본 논문에서는 기술적인 요구사항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기술적인 요구사항으로 functional requirements와 performance requirements로 구분하여 기술하고 있다.

1. Functional Requirements

가. Connection Topology

근접통신 시스템에서 연결은 항상 두 기기 간에 제한하며, 연결 구조는 P2P여야 한다.

나. Media Access Mechanism

근접통신 P2P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다음 기능을 제공해야 한다.

· 네트워크 고유 ID가 없어도 링크 설정 가능해야 함.

· 네트워크 연결 형태는 항상 두 기기 간에만 구성되어야 함.

· 링크 설정 시간은 기기들이 active state에 이르기까지 2msec 이하여야 함.

· 빔포밍과 같은 기술을 사용하지 않아도 주위의 다른 시스템과 공간적 분할됨을 제공해야 함.

· 데이터 전송을 시작하기 전에 CSMA/CA 방식을 사용하지 않아야 함.

· 연결이 이루어진 이후에는 주기적인 관리 프레임 전송을 하지 않음.

다. QoS

근접통신 P2P 연결이므로 별도의 QoS 기법을 적용하지 않는다.

라. Security

전송거리의 제한이 있으므로, 근접통신 P2P 시스템에서는 PHY 또는 MAC 계층에서의 security 기능을 생략할 수 있다.

마. Power Management

근접통신 P2P 시스템은 아주 짧은 시간 동안 active state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므로, standby state에 서는 소비 전력이 낮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active state에서도 소비 전력이 낮게 설계되어야 하고, 별도의 전력관리 기법을 요구하지 않는다.

2. Performance Requirements

가. Operating Frequency Band

근접통신 P2P 시스템에서는 60G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며, IEEE 802.15.3c 채널 구조 기반으로 사용한다. Ch2은 기본 채널(default channel)이며, ch2와 ch3 사용을 지원해야 하며, 채널 본딩이나 채널 결합을 사용할 수 있다.

나. Transmission Range

최대 전송거리는 두 기기 간 최소 전송속도로 동작하고 있을 때 touch 동작운영이 가능한 근접거리로 하되, 어떠한 빔포밍이나 빔 스티어링 기법 없이도 10cm 이내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두 기기 간 거리가 최대 전송거리를 벗어나면 두 기기 간 연결은 끊어져야 한다.

다. Spectral Efficiency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MIMO) 기술이 사용 될 수도 있다.

라. Data Rate

사용 주파수 방법이나 채널 모델 등을 고려하여 앞에서 제시한 애플리케이션들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PHY 계층에서 최대 100Gbps를 제공해야 한다.

마. Link Budget

근접통신 P2P에서 사용하는 link budget에 대한 예시는 <표 1>과 같다.

<표 1>

Link Budget 예시

images_1/2016/v31n1/ETRI_J003_2016_v31n1_45_t001.jpg
images_1/2016/v31n1/

3. Evaluation Criteria

IEEE 802.15.3e TG에서는 제안된 기고서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PHY 계층 및 MAC 계층의 평가 범주를 정하였고, 아울러 근접통신 P2P 시스템이 갖추어야 할 평가 범주도 정의하였다.

가. PHY Criteria

1) 통신 거리: 연결 거리가 10cm일 때 링크 버짓의 값들을 시연할 수 있어야 함.

2) 동작 주파수 대역: 60GHz 비 면허대역

3) 전파 간섭: 비록 밀집 환경일지라도 15.3e 기기 상호 간 간섭 없이 동작 가능해야 함.

4) 공존성: 빔포밍 기술을 적용하지 않고 동작할 때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다른 시스템과 함께 동작할 수 있어야 함.

5) PHY SAP에서 전송속도 산출: 미국, 유럽, 한국, 일본 등에서 사용하는 공통 주파수 대역에서 100Gbps를 만족하는 동작모드가 있어야 함.

6) 안테나 form factor: 앞의 PHY 평가 범주를 충족할 수 있는 안테나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 내부에서 동작가능하고, 배치도 할 수 있도록 작아야 함.

나. MAC Criteria

1) 연결설정 시간: 2 msec 이내

2) ‘연결설정 기간’에 대한 정의: ‘두 기기가 관리 프레임으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모두 정상적으로 수신한 때로부터 association 완료가 될 때까지’로 정함.

3) P2P: 두 기기 사이의 점대점 연결로 제한함.

4) No identifiers: 연결설정 과정에서 네트워크 ID(PNID)의 교환 없이 진행될 것

5) NO CSMA: 프레임 전송에 앞서서 채널센싱(CSMA)을 하지 않음.

6) 두 기기 간 Association 완료가 되고 나면, 주기적인 관리 프레임 송수신은 없음.

7) 데이터 성능은 MAC SAP에서 산출할 수 있어야 함.

8) 임의적 또는 다발적 오류가 있더라고 에러 감지와 복구를 통하여 심각한 성능 감쇄를 방지해야 하고, 또한 불안정한 상태로 천이되지 않아야 함.

다. System Criteria

1) Touch action: 두 기기가 서로 공간적으로 정렬을 하지 않더라도, 안테나 간 거리가 1cm 이내로 서로 접근하면 두 기기는 연결설정을 시작하여야 함.

2) 연결해제: 두 기기 간 거리가 10cm 이상 벗어나면 즉시 연결을 해지해야 함.

3) 효율적 설계: 단순한 설계로 저지연, 고성능을 달성해야 함.

4) 모바일 기기는 에너지 효율성이 좋아야 함.

Ⅳ. IEEE 802.15.3e MAC 표준기술

1. MAC Superframe 구조

IEEE 802.15.3e에서의 MAC superframe은 (그림 4)와 같으며, 이는 IEEE 802.15.3c에서 사용하던 Con-tention Access Period(CAP)만 사용하고, Channel Time Allocation Period(CTAP)는 사용하지 않는다[7].

(그림 4)

HRCP MAC Superframe Structure[7]

images_1/2016/v31n1/ETRI_J003_2016_v31n1_45_f004.jpg

2. HRCP Access Period

MAC superframe 동작은 (그림 5)와 같이 unassociated phase에서 연결설정이 이루어지며 2msec 이내에 연결구성이 되어야 한다. 두 기기 간 연결설정이 완료되면 associated phase로 전환되며, 이때부터는 비콘 전송이 중지된다[8].

(그림 5)

HRCP MAC Superframe 동작[8]

images_1/2016/v31n1/ETRI_J003_2016_v31n1_45_f005.jpg

HRCP superframe 주기는 28.5usec로, 비콘을 포함한 access slot의 개수는 4개로 잠정 논의 중이다.

연결된 두 기기 간 연결해지는 연결해지 요청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두 기기 간 거리가 10cm를 벗어나면 진행된다.

3. Setup Procedure

근접통신에서 사용되는 두 기기간의 연결절차는 (그림 6)과 같이 비콘을 전송하는 기기(PPC)에서는 Device Identification(DEVID)을 무작위로 선출하여 비콘에 실어 전송하고, 비콘을 인지한 기기는 연결설정 요청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림 6)

MAC Association 절차[8]

images_1/2016/v31n1/ETRI_J003_2016_v31n1_45_f006.jpg

PPC에서 DEV1으로부터 연결요청을 수신하면 DEV1으로 연결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면서 PPC에서는 비콘 송신을 중지한다.

4. DEVID & NEXT DEVID

IEEE 802.15.3e TG에서는 티켓 게이트 서비스를 위해서 서비스를 받고 연결해지한 기기와 연이어서 새롭게 연결하려는 기기를 구분하기 위해 DEVID를 무작위로 추출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PPC에서 비콘을 통해 NEXT DEVID를 실어서 보내면, 연결요청하고자 하는 DEV는 DEVID에 PPC로부터 수신 NEXT DEVID를 할당하여 PPC로 연결요청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러면, PPC에서는 수신하고자 하는 DEVID가 맞는 확인한 후에 연결설정을 진행한다.

한편, PPC에서는 연결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이후 Associa-tion Timeout Period(ATP) 동안에 응답이 없으면, 세션이 종료된 것으로 인식한다. 이럴 때 PPC는 새로운 NEXT DEVID를 작위로 추출한 후 다음 세션 동작을 진행한다.

이는 사용자의 실수로 잦은 touch approaching으로 인한 오류와 해킹에 의한 오용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5. Aggregation & Disaggregation

MAC SAP 인터페이스를 통해 MAC Service Data Unit(MSDU)을 수신하면, MAC Packet Data Unit (MPDU)에 적재를 할 때, MSDU 크기가 MPDU 보다 크면, MSDU를 분할하여 2개 이상의 MPDU에 나누어 적재하게 된다. 이를 위해 MAC subheader에는 fragmentation flag를 두어서 MSDU의 분할 여부를 설정하게 된다. 현재 표준에서 논의되고 있는 MPDU 한 블록의 최대 크기는 (8kB -1)이며, superframe에는 최대 255개의 subframe을 결합(aggregation)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조는 (그림 7)과 같다[9].

(그림 7)

MAC Aggregation 구조[9]

images_1/2016/v31n1/ETRI_J003_2016_v31n1_45_f007.jpg

역으로, MAC 프레임을 PHY로 수신하였을 때는 (그림 8)과 같이 subframe과 이웃한 subframe과의 관계를 식별하여 분할된 MPDU라면 조각 모음을 통해 하나의 MSDU를 구성한다.

(그림 8)

MAC Disaggregation 구조[9]

images_1/2016/v31n1/ETRI_J003_2016_v31n1_45_f008.jpg

6. IFS

IEEE 802.15.3e에서 사용하는 Interframe Space (IFS)는 Short IFS(SIFS)와 Recovery IFS(RIFS)를 사용한다.

SIFS는 PPC와 DEV간 송수신간 동기가 정상적으로 동작되는 구간에서 사용되며, RIFS는 두 기기 간 주어진 기간에 프레임을 주고받지 못하는 복구 과정에서 사용한다. RIFS는 Short RIFS와 Long RIFS로 나눈다.

Ⅴ. IEEE 802.15.3e PHY 표준기술

1. HRCP-OOK PHY

가. HRCP-OOK PHY Frame Structure

(그림 9)

OOK PHY Frame Structure[10]

images_1/2016/v31n1/ETRI_J003_2016_v31n1_45_f009.jpg

On-Off Keying(OOK) PHY frame은 (그림 9a)와 같이 preamble, frame header, payload로 구성된다. Preamble은 OOK 파형으로 변조되며, 각 preamble의 각 필드는 (그림 9b)와 같이 128 bit Golay sequence a128 & b128으로 구성된다[10].

SYNC 필드는 프레임 검출을 위해 사용하고, SFD 필드는 첫 code는 분리자(delimiter) 및 CES 선택을 위해 사용하고, 연이은 3codes는 본딩 채널과 spreading factor를 포함하고 있는 OOK MCS 관련 변수를 위해 사용한다.

나. Channel Bonding

OOK PHY는 (그림 10)과 같이 4가지의 채널 운용모드를 제시하고 있다. OOK PHY는 채널 본딩 방식을 지원한다. 기본 채널(default channel)은 ch2이며, 2채널 본딩은 ch2와 ch3를, 3채널 본딩은 ch1, ch2 그리고 ch3를, 4채널 본딩은 ch1, ch2, ch3, 그리고 ch4를 본딩하여 사용한다.

(그림 10)

OOK PHY에서 채널 본딩 유형[10]

images_1/2016/v31n1/ETRI_J003_2016_v31n1_45_f010.jpg

다. HRCP-OOK PHY의 MCS

<표 2>

HRCP-OOK PHY MCS 유형

images_1/2016/v31n1/ETRI_J003_2016_v31n1_45_t002.jpg

HRCP-OOK PHY의 Modulation and Coding Selection(MCS)은 <표 2>와 같이 7가지이며, 이는 채널 본딩과 spreading factor 조합으로 분류되며, FEC 유형은 RS(240, 224) code를 사용한다.

OOK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는 최대 전송속도는 6.5 Gbps이다.

2. HRCP-SC PHY

가. Single Carrier PHY Frame Structure

HRCP-SC PHY frame은 (그림 11)과 같이 preamble, header, payload 필드로 구성된다. Preamble 프레임 구조에서 각 SYNC, SFD, CES의 반복 회수가 다를 뿐, 각 기능 및 역할은 유사하다[11].

(그림 11)

SC PHY에서 채널 본딩 유형[11]

images_1/2016/v31n1/ETRI_J003_2016_v31n1_45_f011.jpg

나. Channel Aggregation

HRCP-SC PHY는 개별 채널을 결합(aggregation)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만, spectral mask 구현 복잡도를 고려하여 인접하지 않은 채널 간 aggregation을 제시하고 있다.

다. HRCP-SC PHY 기타사항

HRCP-SC PHY는 빠른 수신 처리를 위해 수신 프레임의 모든 payload를 복조하지 않고, PHY 헤더에 오류가 없으면 나머지 부분을 복조하는 2단계 복조방식을 제공한다.

라. HRCP-SC PHY의 MCS

아래 <표 3a>는 채널을 하나만 사용하고 256 QAM에 LDPC(1440, 1344)를 사용하는 FEC 14/15 rate일 때 최대 13Gbps를 제공하며, 모두 7가지의 MCS 유형을 제공한다[11].

또한, HRCP-SC PHY는 MIMO 안테나를 사용하여 전송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는 MCS 유형을 <표 3b>와 같이 별도로 제시하고 있다[12].

<표 3>

HRCP-SC PHY의 MCS 유형

images_1/2016/v31n1/ETRI_J003_2016_v31n1_45_t003a.jpg
[i]

<a>Single Channel MCS 유형[11]

images_1/2016/v31n1/ETRI_J003_2016_v31n1_45_t003b.jpg
[ii]

<b>MIMO 안테나 환경에서의 MCS 유형[12]

Ⅵ. 시스템 기술

근접통신 P2P 시스템에서는 두 기기 간에 링크 연결설정을 위해서 PPC에서 비콘을 주기적으로 송신하도록 하고 있다. 어떤 DEV가 PPC와의 거리가 10cm 이내로 들어오는 경우, PPC와 연결을 위해 접근하는지, 아니면 연결을 원하지 않는데 순간적으로 접근하는지 구분하기 어렵다. 이를 위해 HRCP TG에서는 DEV가 (그림 12)와 같이 touch action 거리(예, 1cm) 이내에 접근했을 경우에만 링크 연결설정을 위한 메시지를 PPC로 할 수 있도록 하는 트리거 방법이 필요하다[13][14].

(그림 12)

근접통신 P2P 시스템에서의 Touch Action[13]

images_1/2016/v31n1/ETRI_J003_2016_v31n1_45_f012.jpg

통신하고 있는 두 기기 간에 데이터 전송을 완료한 뒤, 떨어지는 상황을 감지하는 방법으로 ATP 변수값으로 정의하였다. 일반적으로 10cm 거리를 사람의 손으로 이동할 때에는 약 0.2sec 정도 소요되어, ATP의 값을 0.1~0.15sec로 잠정적으로 정하였다.

Ⅶ. 맺음말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5.3e에서 진행하고 있는 초고속 근접통신 표준기술에 대한 동향을 기술하였다. 본 표준기술은 향후 네트워크를 경유하지 않는 다양한 서비스에 적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용어해설

근접통신 P2P 시스템10cm 이내의 짧은 거리에서 네트워크의 지원 없이 두 기기 간 직접 접속하여 통신하는 시스템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패킷을 보낼 때 반송파를 감지하여 회선 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 접속을 개시하거나 대기하는 다중접속방식

약어 정리

ATP

Almost Blank Subframe

CAP

Contention Access Period

CTAP

Contention Time Allocation Period

DEVID

Device Identification

HRCP

High-Rate Close Proximity

IFS

Interframe Space

DC

Dual Connectivity

MCS

Modulation and Coding Selection

MPDU

MAC Packet Data Unit

MSDU

MAC Service Data Unit

OOK

On-Off Keying

P2P

Point-to-Point

PPC

Point-to-Point Coordinator

RIFS

Recovery IFS

SC

Single Carrier

SIFS

Short IFS

UX

User Experience

각주

[i]

<a>Single Channel MCS 유형[11]

[ii]

<b>MIMO 안테나 환경에서의 MCS 유형[12]

[1] 

아이뉴스24, “스트리밍 서비스, 북미 트래픽 79% 차지,” 2015. 12. 8.

[2] 

https://www.thepiratebay.se/top/201

[3] 

미래창조과학부 통신정책국, “무선데이터 트래픽 통계(2015년 10월 기준),” 2015. 11. 27, pp. 1-2, http://27.101.205.143/dynamic/file/afieldfile/mssw4b/1286142/2015/11/27/무선데이터 트래픽 통계(_15.10월말 기준).pdf

[4] 

신경철 외, “초근접 고속통신 서비스,” 한국IT서비스학회, 추계학술대회, 2014. 11.

[5] 

한기철, 이문식, “근접 모바일 통신 기술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8권 제6호, 2013. 12, pp. 118-126.

[6] 

IEEE 802.15-15-0109-07-003e, “3e Technical Guidance Document,” July 2015.

[7] 

IEEE 802.15-15-0660-02-003e, “MAC: Superframe and Association,” Sept. 2015.

[8] 

IEEE 802.15-15-0917-00-003e, “3e MAC,” Nov. 2015.

[9] 

IEEE 802.15-15-0663-02-003e, “MAC,” Sept. 2015.

[10] 

IEEE 802.15-15-659-00-003e, “OOK PHY,” July 2015.

[11] 

IEEE 802.15-15-0662-00-003e, “Single Carrier PHY,” Sept. 2015.

[12] 

IEEE 802.15-15-0891-00-003e, “PHY MIMO Supporting Material,” Nov. 2015.

[13] 

김영훈 외, “HRCP 통신시스템에서의 심플 페어링을 위한 RSSI 기반의 터치 액션,” 한국통신학회, 동계학술대회, 2016. 1.

[14] 

IEEE 802.15-15-0931-00-003e, “Supporting Material for ATP and Expected RSSI,” Nov. 2015.

(그림 1)

국내 무선데이터 트래픽 변화

images_1/2016/v31n1/ETRI_J003_2016_v31n1_45_f001.jpg
(그림 2)

이동/무선통신 서비스 및 기술 변화

images_1/2016/v31n1/ETRI_J003_2016_v31n1_45_f002.jpg
(그림 3)

초고속 근접통신 주요 서비스 예시

images_1/2016/v31n1/ETRI_J003_2016_v31n1_45_f003.jpg
(그림 4)

HRCP MAC Superframe Structure[7]

images_1/2016/v31n1/ETRI_J003_2016_v31n1_45_f004.jpg
(그림 5)

HRCP MAC Superframe 동작[8]

images_1/2016/v31n1/ETRI_J003_2016_v31n1_45_f005.jpg
(그림 6)

MAC Association 절차[8]

images_1/2016/v31n1/ETRI_J003_2016_v31n1_45_f006.jpg
(그림 7)

MAC Aggregation 구조[9]

images_1/2016/v31n1/ETRI_J003_2016_v31n1_45_f007.jpg
(그림 8)

MAC Disaggregation 구조[9]

images_1/2016/v31n1/ETRI_J003_2016_v31n1_45_f008.jpg
(그림 9)

OOK PHY Frame Structure[10]

images_1/2016/v31n1/ETRI_J003_2016_v31n1_45_f009.jpg
(그림 10)

OOK PHY에서 채널 본딩 유형[10]

images_1/2016/v31n1/ETRI_J003_2016_v31n1_45_f010.jpg
(그림 11)

SC PHY에서 채널 본딩 유형[11]

images_1/2016/v31n1/ETRI_J003_2016_v31n1_45_f011.jpg
(그림 12)

근접통신 P2P 시스템에서의 Touch Action[13]

images_1/2016/v31n1/ETRI_J003_2016_v31n1_45_f012.jpg
<표 1>

Link Budget 예시

images_1/2016/v31n1/ETRI_J003_2016_v31n1_45_t001.jpg
images_1/2016/v31n1/
<표 2>

HRCP-OOK PHY MCS 유형

images_1/2016/v31n1/ETRI_J003_2016_v31n1_45_t002.jpg
<표 3>

HRCP-SC PHY의 MCS 유형

images_1/2016/v31n1/ETRI_J003_2016_v31n1_45_t003a.jpg

<a>Single Channel MCS 유형[11]

images_1/2016/v31n1/ETRI_J003_2016_v31n1_45_t003b.jpg

<b>MIMO 안테나 환경에서의 MCS 유형[12]

Sign Up
전자통신동향분석 이메일 전자저널 구독을 원하시는 경우 정확한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