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trends banner

박철 (Park C.) 이동무선백홀연구실 선임연구원
이승규 (Lee S.Q.) 이동무선백홀연구실 책임연구원
김진업 (Kim J.U.) 이동무선백홀연구실 책임연구원
김일규 (Kim I.G.) 이동무선백홀연구실 책임연구원

Ⅰ. 서론

현재, 소프트웨어 기반 이동통신 플랫폼 개발 기술은 LTE 및 LTE-Advanced 규격의 기능들을 수용하는 제품을 출시하는 단계에 이르렀으며, 이를 기반으로 향후 전개될 5세대 이동통신 기능을 수용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5세대 이동통신 기술은 지금까지의 이동 통신 기술에 비해 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기술들이 복합된 형태가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의 소프트웨어 기반 이동통신 플랫폼이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5세대 이동통신의 기능들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가상화를 기반으로 하는 이동통신 플랫폼 개발 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고에서는 가상화 기반 이동통신 플랫폼 기술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고, 현재까지 개발된 대표적인 소프트웨어 기반 이동통신 플랫폼들에 대해 살펴본다. 또한, 소프트웨어 기반 이동통신 플랫폼 및 향후 가상화 기반 이동통신 플랫폼 개발에 사용 가능한 소프트웨어 RF 플랫폼(Software Radio Frontend)의 개발 현황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Ⅱ. 이동통신 가상화 플랫폼 기술

가상화 기반 이동통신 플랫폼은 Software Defined Network(SDN)/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NFV) 개념을 적용하여 범용의 플랫폼에 사용자 요구에 맞는 가상 네트워크 기능(Virtual Network Function: VNF)을 적응적으로 탑재하여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상화 기반 이동통신 플랫폼은 컴퓨팅,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의 시스템 자원을 직접 사용하지 않고 하이퍼바이저(Hyperviser)라 불리는 가상화된 시스템 자원을 사용하여 이동통신 기능을 구현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PC와 같은 범용 컴퓨팅 플랫폼 내에 무선 접속과 프로토콜 처리를 위한 물리계층, MAC계층과 네트워크 기능을 포함하는 상위 계층의 기능을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기존의 전용 하드웨어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플랫폼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그림 1)은 이러한 이동통신 가상화 플랫폼의 일반적인 개념을 도식화한 것이다.

(그림 1)
이동통신 가상화 플랫폼 개념도

이동통신 가상화 플랫폼은 다양한 통신방식을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미래의 통신환경에 적합한 5G 이동통신 기지국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현재 연구 중인 SDN/NFV 등과 연동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통신 서비스에 대한 요구 사항을 적응적으로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선 자원 및 시스템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기반 시스템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가상화 플랫폼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며, 이러한 가상화 플랫폼의 Use Case를 ETSI ISG NFV에서는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1].

• Use Case 1: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in-frastructure as a service

• Use Case 2: Virtual network function as a service

• Use Case 3: Virtual network platform as a service

• Use Case 4: VNF forwarding graphs

• Use Case 5: Virtualization of mobile core network and IMS

• Use Case 6: Virtualization of mobile base station

• Use Case 7: Virtualization of the home environ-ment

• Use Case 8: Virtualization CDNs

• Use Case 9: Fixed access 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한편, 가상화 플랫폼을 사용하여 얻을 수 있는 장점은 다양하며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2].

• 범용 하드웨어 사용

가상화 플랫폼에서는 이동통신 시스템 기능 구현을 위한 전용 하드웨어가 필요하지 않음. 이동통신 시스템의 모든 기능은 범용 CPU, 범용 스토리지 및 범용 스위치 상에서 구현되고 구동됨.

• 트렁킹 게인(Trunking Gain)효과

무선접속기능이나 프로토콜 기능을 처리하는 디지털 유닛(DU)을 집중화된 형태로 두고, 사용자가 위치한 지역에 원격의 라디오 유닛(RU)을 분산된 형태로 운용하여 정보의 밀집(aggregation)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자원의 동적 관리, 최적화, 용량 증대 및 부하 분산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음.

• 에너지 절감 효과

이동통신 기능별 사용 정도를 추적 및 관리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 내에서 불필요한 부분에 대한 가동을 줄이는 방식으로 에너지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음.

• 시장 출시 시간(Time-to-market)의 단축 효과

다양한 이동통신 기능을 유연하게 구현하고 재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통신 규격 등에 대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어 신규 이동통신 서비스의 시장 출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음.

• 시스템 활용도(Utilization) 증가 효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플랫폼 내에 다양한 통신 노드 들(예를 들어, EPC, GW, HSS 등)을 탑재할 수 있으므로 전용 하드웨어를 사용하는 방식과 비교하여 시스템 활용도를 증가시킬 수 있음.

• 제3자(Third Party) 응용 프로그램 수용

가상화 플랫폼 상에 Mobile Edge Computing (MEC) 서버 기능 등을 수용할 수 있으므로, 제3자 응용 프로그램 수용이 매우 용이함.

Ⅲ. 소프트웨어 기반 이동통신 플랫폼 개발 현황

본 절에서는 가상화 기반 이동통신 플랫폼의 기본 단계인 소프트웨어 기반 이동통신 시스템 개발 현황에 대해 살펴본다. 현재, OpenAirInterface(OAI)와 Amarisoft가 소프트웨어 기반 이동통신 플랫폼 개발에 활발한 연구성과를 보이고 있다. 이들은 소프트웨어 기반 이동통신 플랫폼 개발에 선행적인 결과물들을 내놓고 있으며, 향후 이를 바탕으로 가상화 기반의 이동통신 플랫폼 개발도 진행할 예정이다[3]. 본 절에서는 이 두 가지 플랫폼에 대해 살펴본다.

1. OAI 플랫폼

OpenAirInterface는 범용 하드웨어를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기반 이동통신 플랫폼을 개발 중이며, 필요한 소프트웨어는 오픈 소스 형태의 개발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OAI는 현재까지 LTE(3GPP Rel-8) 통신 규격을 수용하는 소프트웨어 기반 이동통신 플랫폼의 개발을 완료하였으며, 향후 5G 이동 통신 기능을 수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기반 이동 통신 플랫폼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3]. OAI 플랫폼에는 LTE 단말기(UE), 기지국(eNodeB) 및 EPC(Evolved Packet Core)의 기능이 모두 포함되어 있으며, 현재까지 개발된 OAI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주요 기능들은 다음과 같다[3].

• 3GPP Rel-8 규격 수용

• FDD 및 TDD 변복조 기능 지원

• 전송 모드 1(SISO)/2/4/5/6(2x2 MIMO) 지원

• 모든 상향/하향링크 채널 지원

• 상향링크 16QAM 변복조 기능 지원

• 하향링크 64QAM 변조 기능 지원

• MAC, RLC, PDCP 및 RRC 계층 기능 지원

• Rel-10의 eMBMS 채널 지원

• S1AP 인터페이스 기능 지원

• X2AP 인터페이스 기능 지원

• MME/SGW/PGW 기능 지원 등

OAI 플랫폼은 단말기, 기지국 및 EPC의 기능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므로, 다음과 같이 다양한 조합으로 활용될 수 있다[3].

• OAI 단말기 – OAI 기지국 + OAI EPC

• OAI 단말기 – OAI 기지국 + 상용 EPC

• OAI 단말기 – 상용 기지국 + OAI EPC

• OAI 단말기 – 상용 기지국 + 상용 EPC

• 상용 단말기 – OAI 기지국 + OAI EPC

• 상용 단말기 – OAI 기지국 + 상용 EPC

• 상용 단말기 – 상용 기지국 + OAI EPC

OAI 플랫폼은 소프트웨어 플랫폼과 하드웨어 플랫폼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림 2)는 LTE 기능을 수용하고 있는 OAI 의 소프트웨어 플랫폼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2)에서 알 수 있듯이 OAI의 소프트웨어 플랫폼은 LTE 규격에서 정의한 프로토콜 스택의 구성 요소를 모두 수용하고 있다. 한편, OAI의 하드웨어 플랫폼은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처리를 위한 하드웨어와 RF 아날로그 신호 처리를 위한 하드웨어로 구성되어 있다.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 처리를 위한 하드웨어로는 Linux OS를 사용하고, x86 계열의 프로세서가 장착된 범용의 PC가 사용된다. RF 아날로그 신호처리를 위한 하드웨어로는 (그림 3)에 나타난 ExpressMIMO2라는 명칭의 상용 Software Radio Frontend가 사용된다.

(그림 2)
OAI 소프트웨어 플랫폼 구조[2]

ExpressMIMO2는 OAI 하드웨어 플랫폼에서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를 처리를 담당하는 범용 하드웨어에서 처리된 결과를 받아 RF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으로 송신하거나, 상용 LTE 단말기 혹은 OAI LTE 단말기가 무선으로 송신한 RF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신호를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범용 하드웨어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이러한 기저대역 트래픽 데이터의 전달을 위해 둘 사이에는 PCIe 방식의 인터페이스가 사용되며, ExpressMIMO2의 구동을 위해 필요한 제어 신호도 PCIe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호 교환된다.

(그림 4)는 ExpressMIMO2 및 기저대역 신호처리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구현되어 있는 OAI 하드웨어 플랫폼의 소프트웨어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4)에서 HW Sapce 는 Express-MIMO2 상에 속한 기능을 의미하며, Linux 의 Kernel Space 및 User Space 는 기저대역 신호처리 하드웨어 내에 있는 프로세서(x86)에 속한 기능을 의미한다. Kernel space 에는 PCIe를 구동하기 위해 필요한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기저대역 하드웨어 프로세서는 ExpressMIMO2 내의 프로세서(LEON)에게 ExpressMIMO2의 구동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전달하고, 그 제어 신호에 포함된 내용에 따라 LEON 은 ExpressMIMO2 의 기능을 제어한다. LEON은 (그림 3)에 표시되어 있는 Spartan 6 LX150T의 내부에 존재한다. 한편, (그림 4)의 User Space에는 (그림 2)와 같은 OAI 소프트웨어 플랫폼 기능이 구현되어 있으며, 소프트웨어 플랫폼에서 처리된 기저대역 디지털 데이터는 Kernel Space의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통해 ExpressMIMO2로 전달되며, ExpressMIMO2상에서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데이터 역시 Kernel Space의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통해 User space로 전달된다. 또한, ExpressMIMO2를 위해 User Space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도 Kernel Space의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통해 ExpressMIMO2 로 전달된다. 향후, OAI에서는 하드웨어 플랫폼에 적용하는 상용 Software Radio Frontend를 USRP X300과 같은 제품으로도 확대할 예정이다. 참고로, USRP X300은 Ettus Research 에서 개발한 상용 제품의 명칭이며, 현재 Ettus Research 는 National Instruments 에 합병된 상태이다.

(그림 3)
OAI ExpressMIMO2[2]
(그림 4)
ExpressMIMO2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 구조[2]

2. Amarisoft 플랫폼

Amarisoft에서는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하고, LTE 규격을 만족하는 Amari LTE 100 이라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기본으로 Amari OTS 100 이라는 상용 플랫폼 패키지를 개발 및 판매하고 있다[5]. Amarisoft의 Amari LTE 100 소프트웨어 플랫폼은 OAI와는 달리 필요한 소프트웨어 개발 방식에 있어, 오픈소스 방식이 아닌 아닌 자체 개발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림 5)는 Amari LTE 100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며, LTE 규격에서 정의한 프로토콜 스택을 모두 수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Amari LTE 100은 OAI 의 소프트웨어 플랫폼과는 달리 LTE 단말기의 기능은 제공하지 않으나, 그 이외에 LTE 기지국(eNodeB) 및 Evolved Packet Core(EPC)의 기능은 모두 포함하고 있다. Amarisoft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주요한 기능은 다음과 같다[4][5].

(그림 5)
Amari LTE 100 소프트웨어 구조[3]

• 기지국(eNodeB) 기능

- 3GPP Rel-13 규격 수용

- FDD 및 TDD 변복조 기능 지원

- 전송 모드 1(Single Antenna)/2/10(4×2 MIMO) 지원

- Carrier Aggregation(CA) 지원

- CoMP 기능 지원

- 하향링크 256QAM 변조 기능 지원

- MAC, RLC, PDCP 및 RRC 계층 기능 지원

- NB-IoT 기능 지원

- S1AP 및 GTP-U 인터페이스 기능 지원

- X2AP 인터페이스 기능 지원

- eMBMS를 위한 M1 인터페이스 지원

• 코어망(EPC) 기능

- MME 기능 지원

- IMS 서버 기능 지원

- eMBMS 게이트웨이 기능지원

• 웹기반 GUI 기능

- Wireshark 지원

한편, 상용 플랫폼 패키지인 Amar OTS 100은 다음과 같은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로 구성되어 있다[5].

• 소프트웨어(Amari LTE 100)

- eNodeB 기능

- EPC 기능

- IMS서버 기능

- eMBMS서버 기능

• 하드웨어

- x86기반 범용 PC/Linux OS

- USRP N210

- 안테나

- 상용 스마트폰

참고로, Amarisoft는 Amari OTS 100에서 사용되는 상용 Software Radio Frontend인 USRP N210[8]이외에, 상용 Software Radio Frontend 중의 하나인 PicoSDR 2×2[14]와도 상용 패키지를 구성하고 있다[15].

Ⅳ. 상용 Software Radio Frontend 개발 현황

1. 상용 Software Radio Frontend 제품 및 특징

<표 1><표 2>는 현재 개발되어 있는 상용 Software Radio Frontend 제품 중 이미 소프트웨어 기반 이동통신 플랫폼에 적용되고 있거나, 향후 소프트웨어 기반 및 가상화 기반 이동통신 플랫폼에 적용 가능한 제품들과 그에 따른 특징을 정리한 것이다. <표 1><표 2>의 제품 중 현재 비교적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제품으로는 앞서 OAI 플랫폼에서 소개한 EURECOM의 Express-MIMO2와 Ettus Research의 USRP X300/310 등을 들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현재 Nutaq 의 PicoSDR 2×2[14]의 경우에는 Amari LTE 100 소프트웨어 플랫폼과 연동하도록 구성하여, PicoLTE라는 상용 이동통신 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 제작되어 판매 중이다[15].

<표 1>
상용 Software Radio Frontend 제품별 특징 비교 1
<표 2>
상용 Software Radio Frontend 제품별 특징 비교 2

2. Massive MIMO 기능 개발 현황

5세대 이동통신에 사용될 수 있는 주요 기술 중 Massive MIMO 기술이 주목 받고 있다. 현재, 상용 Software Radio Frontend 제품을 이용하여 Massive MIMO 기능을 구현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본 절에서는 상용 Software Radio Frontend 제품을 이용한 Massive MIMO 기능의 개발 현황에 대해 살펴본다.

가. USRP를 이용한 Massive MIMO 기능 개발

현재 사용되는 상용 USRP(Universal Software Radio Peripheral) 제품은 제품의 제작사에 따라 크게 Ettus Research에서 개발한 제품군과 National Instruments (NI)에서 개발한 제품군으로 나눌 수 있다. Ettus Research제품군에는 앞서 소개한 바 있는 USRP N210, USRP X300/310 등이 속해 있다. 한편, NI 제품군은 특별히 ‘USRP RIO+제품코드’ 형태의 제품명을 가지며, 이 ‘제품코드’를 통해 제품군 내의 각 제품을 세부적으로 구분한다. USRP 구동을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에 사용되는 개발 환경 측면에서도 두 제품군 간에 차이가 있다. Ettus Research 제품군은 오픈소스 기반의 개발 환경을 사용하며, NI 제품군은 오픈소스 기반의 개발 환경뿐만 아니라, NI의 상용 소프트웨어인 LabView를 이용한 개발 환경을 사용할 수도 있다. 두 제품군 간에는 기능이 서로 유사한 제품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USRP를 선택할 경우 두 제품군 사이의 개발 환경 및 기능 비교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본 절에서는 이와 같은 두 제품군 중 NI의 USRP RIO 를 이용한 Massive MIMO 기능 개발 현황에 대해 살펴본다. 스웨덴의 Lund University에서는 USRP RIO와 100개의 배열안테나를 이용하여 ‘LuMaMi’라 불리는 Massive MIMO 기지국 테스트베드를 개발하였다[16]. (그림 6)은 LuMaMi 테스트베드의 구성도 (그림 6a)와 실제 형상 (그림 6b)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6a)의 구성도에서 SDR로 표기되어 있는 상용 Software Radio Frontend에는 NI의 USRP RIO 2943R 제품이 사용되었으며, 각각의 SDR 들은 우측 형상에서 보이는 T자형태로 제작된 배열 안테나의 각 안테나 엘리먼트와 연결된다.

(그림 6)
LuMaMi 테스트베드[16]

나. ExpressMIMO2를 이용한 Massive MIMO 기능 개발

OAI에서는 ExpresssMIMO2를 이용하여 Massive MIMO 테스트베드를 구현하였으며, (그림 7)은 그 구성 및 형상은 나타낸 것이다. OAI의 Massive MIMO 테스트베드는 16개의 ExpressMIMO2와 64개의 안테나 엘리먼트로 구성된 배열 안테나를 연결하고, 기저대역 하드웨어와 다수의 ExpressMIMO2 사이의 인터페이스를위해 PCIe 인터페이스 확장 장치를 이용하여 테스트베드를 구성하였다[17][18]. 16개로 확장된 PCIe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면, (그림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최대 40Gbps까지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지원할 수 있게 된다.

(그림 7)
OAI Massive MIMO 테스트베드[17]

다. 기타 상용 Software Radio Frontend를 이용한 Massive MIMO 기능 개발

USRP 및 ExpressMIMO2 이외에도 Massive MIMO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상용 Software Radio Frontend 제품들이 개발되어 있다. 그 중 하나로 TitanMIMO 테스트베드가 있으며 형상은 (그림 8)과 같다. TitalMIMO테스트베드는 지원 가능한 RF 대역에 따라 TitanMIMO-6계열의 제품과 TitanMIMO-X계열의 제품으로 구분할 수 있다. TitanMIMO-6계열의 제품은 6GHz이하의 대역을 지원하며, TitanMIMO-X계열의 제품은 mmWave 대역을 지원한다. TitanMIMO 테스트베드에 착장 가능한 배열 안테나의 안테나 엘리먼트의 수는 사용되는 기저대역의 폭(baseband bandwidth)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TitanMIMO-6 계열의 경우 최대 1000개까지 가능하며[19], TitanMIMO-X계열의 경우 최대 400개까지 가능하다[20].

(그림 8)
TitanMIMO 테스트베드[19]

Ⅴ. 결론

본고에서는 가상화 기반의 이동통신 플랫폼 기술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소개하고, 현재까지 진행된 소프트웨어 기반 이동통신 플랫폼의 대표적인 개발 사례 몇 가지에 대해 그 내용을 살펴보았다. 또한, 소프트웨어 기반 이동통신 플랫폼 및 향후 가상화 기반 이동통신 플랫폼에 적용 가능한 상용 소프트웨어 RF 플랫폼(Software Radio Frontend)의 개발 현황과 향후 5세대 이동통신 기능에 대한 가상화 기반 플랫폼 개발을 위해 필요한 Massive MIMO 기능을 상용 소프트웨어 RF 플랫폼을 통해 개발하고 있는 내용에 대해서도 살펴 보았다. 범용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이동통신 가상화 플랫폼 개발에 대한 연구는 현재 초기 상태이며, 앞으로 보다 다양한 상용 Software Radio Frontend들이 개발되어 이동통신 소프트웨어 플랫폼 및 이동통신 가상화 플랫폼 기술에 적용될 것이라 예상된다.

약어 정리

CDN

Content Defined Network

EPC

Evolved Packet Core

GW

GateWay

HSS

Home Subscriber Server

IMS

IP Multimedia Subsystem

MEC

Mobile Edge Computing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NFV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PCIe

PCI Express

SDN

Software Defined Network

SGW

Serving Gate Way

USRP

Universal Software Radio Peripheral

VNF

Virtual Network Function

References

[1] ETSI ISG NFV, “Network Function Virtualizaion - Introductory White Paper v2.0,” 2013.
[2] N. Nikaein, “Open Air Interface Sumulator/Emulator, ” 2015.
[3] N. Nikaein et al., “Towards a Cloud-Native Radio Access Network,” 2016, http://www.eurecom.fr/
[4] Specification, “Amari LTE 100, ” http://www.amarisoft.com/, 2015.
[5] Specification, “Amarisoft OTS 100,” http://www.amarisoft.com/, 2016.
[6] Specification, “X300_X310_Spec_Sheet,” http://www.ettus.com/
[7] Specification, “07495_Ettus_N200-210_DS_Flyer_HR,” 2016, http://www.ettus.com/
[8] Specification, “bladerf-x40,” 2016, https://www.nuand.com/
[9] Specification, “bladerf-x115,” 2016, https://www.nuand.com/
[10] Specification, “expressmimo2,” 2016, http://openairinterface.eurecom.fr/
[11] Specification, “b200-b210 spec sheet,” 2016, https:// www.ettus.com
[12] Specification, “LimeSDR,” 2016, http://sodera.org/
[13] Specification, “maveriq,” 2016, http://epiqsolutions.com
[14] Specification, “PicoSDR v1.4,” 2014, http://www.nutaq.com/
[15] Specification, “PicoLTE_072016_comp,” 2016, http://www.nutaq.com/
[16] J. Vieira et al., “A flexible 100-antenna testbed for Massive MIMO, ” Globecom workshop - Massive MIMO: From theory to practice, 2014, pp. 287-293.
[17] F. Kaltenberger et al., “Practical Issues of Reciprocity based Massive MIMO Systems, ” Communication Systems Department Eurecom OAI workshop, 2016.
[18] X. Jiang et al., “OpenAirInterface Massive MIMO Testbed: a 5G Innovation Platform,” 2016, http://www.openairinterface.org/
[19] Specification, “TitanMIMO-6,” 2016, http://www.nutaq.com/
[20] Specification, “TitanMIMO-X,” 2016, http://www.nutaq.com/

(그림 1)

f001

이동통신 가상화 플랫폼 개념도

(그림 2)

f002

OAI 소프트웨어 플랫폼 구조<a href="#r002">[2]</a>

(그림 3)

f003

OAI ExpressMIMO2<a href="#r002">[2]</a>

(그림 4)

f004

ExpressMIMO2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 구조<a href="#r002">[2]</a>

(그림 5)

f005

Amari LTE 100 소프트웨어 구조<a href="#r003">[3]</a>

<표 1>

t001

상용 Software Radio Frontend 제품별 특징 비교 1

<표 2>

t002

상용 Software Radio Frontend 제품별 특징 비교 2

(그림 6)

f006

LuMaMi 테스트베드<a href="#r016">[16]</a>

(그림 7)

f007

OAI Massive MIMO 테스트베드<a href="#r017">[17]</a>

(그림 8)

f008

TitanMIMO 테스트베드<a href="#r019">[19]</a>